이색

연구분야 : A030200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75

STNet ID : 1000730

한자 : 李穡
시호(諡號) : 문정(文靖)
호(號) : 목은(牧隱)
동의어(UF) : 목은 이색(牧隱李穡)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숙 [ 潁叔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은 () [ 三隱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고려수절신 [ 高麗守節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길재 [ 吉再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변계량 (1369-1430) [ 卞季良 ]

affects (영향)

사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권근 () [ 權近 ]

RT (관련어)

 

x01-02 국가명 국가명

원나라 (1271-1368) [ 元--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삼년상 [ 三年喪 ]

RT (관련어)

 

 

이숭인 () [ 李崇仁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몽주 () [ 鄭夢周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종직 (1431-1492) [ 金宗直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괴시 2리 [ 槐市二里 ]

고려후기 挽詩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목은 이색의 시를 중심으로-

The death imager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nsi(挽詩)' in the last Koryo Dynast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陶隱 李崇仁의 생애와 역사적 위상

Life and the historical standing of Doen Yi Sung-in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광주 석서정의 명칭 및 기문 연구

A study on the Name and Gimoon(記文) of Seokseojeong(石犀亭) in Gwangju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광주 석서정의 명칭 및 기문 연구

A study on the Name and Gimoon(記文) of Seokseojeong(石犀亭) in Gwangju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남송․금대 조공체계 속의 고려

Koryo in Tributary Systems of Southern Song and Jin Dynasties

진단학보 | 114 | 2012 | 역사학

고려 말 李中仁의 활동과 교유 관계

The Activities and Friendships of Yi Jung-in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포은학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Noblemen's Critical Perception of 'Pyegaipji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

‘廢假立眞’에 대한 조선후기 사대부의 비판적 인식

Noblemen's Critical Perception of 'Pyegaipji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역사와경계 | 83 | 2012 | 역사학

冶隱의 詩‧文을 통해 본 志節과 隱逸에 대한 論辨 -새로 발견된 冶隱의 「走和詩」 소개를 겸하여

Study on Ya-Eun′s Integrity and Retreat, through His Poetry and Prose -And the presentation of the newly discovered verse of Ya-eun, ‘Joo-hwa [走和]’

漢字漢文敎育 | 1 | 26 | 2011 | 한문교육

고려 우왕대 大藏經 印成과 그 성격- 이색 撰 고려대장경 印成 跋文과 신륵사 大藏閣記를 중심으로 -

高麗 禑王代 大藏経印成とその性格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Gajeong Igok's Pattern of Literary Exchange And Mental Conflict Represented in Poetry Written in Wo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Gajeong Igok's Pattern of Literary Exchange And Mental Conflict Represented in Poetry Written in Wo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목은 이색의 書筵 進講詩 연구

A Study on the Poems Composed by Mokeun Lee Saek at the Royal Lecturing Sessions(書筵)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목은 이색의 書筵 進講詩 연구

A Study on the Poems Composed by Mokeun Lee Saek at the Royal Lecturing Sessions(書筵)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A Study of Colloquial Diction in the Poetry of Mogeun, Lee Saek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A Study of Colloquial Diction in the Poetry of Mogeun, Lee Saek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牧隱 李穡의 疾病에 대한 意識과 文學的 表現

A literary expression and a sense of illness of Lee Saek(李穡)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牧隱 李穡의 疾病에 대한 意識과 文學的 表現

A literary expression and a sense of illness of Lee Saek(李穡)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牧隱 李穡의 蘇東坡詩 受容 樣相

A Study of Mogeun Lee-saek's Acceptance of Su Dongpo’s Poetry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高丽李穑基于≪春秋≫的理解探讨其历史意识和经世思想

이색의 ≪춘추≫이해를 통한 역사의식과 경세사상의 고찰

중국학 | 42 | 2012 | 기타중문학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이색의 유교교화론과 일본 인식 - 새로 발견된 대책문을 중심으로 -

Yi Saek’s Argument of Confucian Enlightenment and His View of Japan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牧隱 節義精神의 哲學的 基盤

牧隐 節義精神的哲學基盤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牧隱 李穡의 疾病에 대한 意識과 文學的 表現

A literary expression and a sense of illness of Lee Saek(李穡)

동방한문학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牧隱 李穡의 疾病에 대한 意識과 文學的 表現

A literary expression and a sense of illness of Lee Saek(李穡)

동방한문학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牧隱 漢詩의 口語體 詩語에 대하여

A Study of Colloquial Diction in the Poetry of Mogeun, Lee Saek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목은 이색의 시와 꽃

Lee Saek's Poetry and Flowers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전근대 한일 양국에 여성담에 관한 소고― 조선후기 야담과 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이색적(異色的) 여성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oman's tale in pre-modern Korea and Japan-Focusing on unique women appeared in Yadam and Ukiyozousi-

일본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전근대 한일 양국에 여성담에 관한 소고― 조선후기 야담과 우키요조시(浮世草子) 속 이색적(異色的) 여성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woman's tale in pre-modern Korea and Japan-Focusing on unique women appeared in Yadam and Ukiyozousi-

일본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