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주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51

한자 : 鄭夢周
기타 : 포은 정몽주
기타 : Jeong Mong-ju
시호(諡號) : 문충(文忠)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달가 [ 達可 ]

UF (비우선어)

초명

 

몽룡 [ 夢龍 ]

UF (비우선어)

초명

 

몽란 [ 夢蘭 ]

UF (비우선어)

 

포은 () [ 圃隱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삼은 () [ 三隱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 기관/조직 기관/조직

고려수절신 [ 高麗守節臣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충신 [ 忠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길재 [ 吉再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범세동 [ 范世東 ]

affects (영향)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영남학파 () [ 嶺南學派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변계량 (1369-1430) [ 卞季良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숭양서원 () [ 崧陽書院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임고서원 () [ 臨皐書院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구용 (1338-1384) [ 金九容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공양왕 (1389-1392) [ 恭讓王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색 () [ 李穡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순절 [ 殉節 ]

RT (관련어)

관련 인물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하여가 [ 何如歌 ]

七點山詩의 樣相과 鄭夢周의 金海 體驗詩

Aspects of Mt. Chiljeomsan Poems and Jeong Mong-ju's Verses on Gimhae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七點山詩의 樣相과 鄭夢周의 金海 體驗詩

Aspects of Mt. Chiljeomsan Poems and Jeong Mong-ju's Verses on Gimhae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변란에서의 鄭氏 眞人 수용 과정 - 『鄭鑑錄』 탄생의 역사적 배경 -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Jeong Family Being Accepted as Jinin in the Disturbances during Late Joseon - A historical background of Jeonggamrok -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七點山詩의 樣相과 鄭夢周의 金海 體驗詩

Aspects of Mt. Chiljeomsan Poems and Jeong Mong-ju's Verses on Gimhae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七點山詩의 樣相과 鄭夢周의 金海 體驗詩

Aspects of Mt. Chiljeomsan Poems and Jeong Mong-ju's Verses on Gimhae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통신사와 영천

Tongshinsa and Yeongcheon in the Joseon Dynasty

배달말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통신사와 영천

Tongshinsa and Yeongcheon in the Joseon Dynasty

배달말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2010 | 기타인문학

映湖樓 차운시에 대하여

淺析映湖樓次韻詩

포은학연구 | 5 |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등주(登州

Deungj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terary Geography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여말선초 對明 남경사행로의 분석과 영향

Analysis and Effect of Nanjing Sahaengro Against Ming Dynasty between the Begining of Chosun and End of Goryeo

지역과 역사 | 27 | 2010 | 역사학

여말선초 對明 남경사행로의 분석과 영향

Analysis and Effect of Nanjing Sahaengro Against Ming Dynasty between the Begining of Chosun and End of Goryeo

지역과 역사 | | 27 | 2010 | 역사학

倭寇의 침략과 鄭夢周의 日本 使行

The Japanese Pirates' Incursions, and Emissary Poeun Jeong Mong-ju's Official Travel to Japan

포은학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月沙 李廷龜(1564-1635)의 학문적 계통과 사림에서의 역할

Wolsa(月沙) Lee Jeong-Gu(李廷龜, 1564-1635) : his academic system and role in Sarim(士林)

한국인물사연구 | 16 | 2011 | 역사학

고려 말 李中仁의 활동과 교유 관계

The Activities and Friendships of Yi Jung-in during the Late Goryeo Period

포은학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The Study of Poeun Jeong Mong-ju’s Scholastic Works and Confucius Ideology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圃隱 鄭先生의 生涯와 禮學思想

The Study of Poeun Jeong Mong-ju’s Scholastic Works and Confucius Ideology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만경대에 형성된 호남 충(忠)의 이미지

An image form of Honam loyalty at Mankeyongdae

호남학 | 48 | 2010 | 기타인문학

만경대에 형성된 호남 충(忠)의 이미지

An image form of Honam loyalty at Mankeyongdae

호남학 | | 48 | 2010 | 기타인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朝鮮時代 鄭夢周 祭享書院의 建立 推移와 性格

Progress of Building Sacrificial Rite Seowon(書院) for Jeong Mong-ju(鄭夢周)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Joseon Dynasty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鄭夢周 祭享書院의 建立 推移와 性格

Progress of Building Sacrificial Rite Seowon(書院) for Jeong Mong-ju(鄭夢周)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Joseon Dynasty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정몽주의 여말선초 종교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식 - 현대 다종교․다문화사회에 대한인식을 위한 제언 -

Jeong Mong-ju’s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change at the transitional time from Goryeo to Joseo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鄭夢周 祭享書院의 建立 推移와 性格

Progress of Building Sacrificial Rite Seowon(書院) for Jeong Mong-ju(鄭夢周)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Joseon Dynasty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 鄭夢周 祭享書院의 建立 推移와 性格

Progress of Building Sacrificial Rite Seowon(書院) for Jeong Mong-ju(鄭夢周)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Joseon Dynasty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정몽주에 대한 인식 - 『고려사』·『고려사절요』를 중심으로 -

The perception of Jeong Mong Ju in the begining of Chosu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역대 詩話集에 나타난 정몽주 시에 대한 비평과 그 의미

Aspects of Criticism on Jeong Mong-ju’s Poems in Collection of Anthology/Criticism and it’s Meaning

포은학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圃隱 鄭夢周의 中國 使行詩에 나타난 自然現象의 意象 變化

Changes in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Phenomena Expressed in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s Diplomatic Poems Written on His Envoy to China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圃隱 鄭夢周의 中國 使行詩에 나타난 自然現象의 意象 變化

Changes in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Natural Phenomena Expressed in Poeun(圃隱) Jeong Mong-ju(鄭夢周)'s Diplomatic Poems Written on His Envoy to China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鄭夢周 시의 역학적 해석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g Mong-Joo's Chinese Poems by the book of changes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圃隱先生의 性格豫測을 위한 四柱命理學的 接近

A Study on Sajumyungri Theological Approach for the Prediction of Poeun’s Natural Character

포은학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圃隱 鄭夢周의 선비精神

The Scholarly Spirit of Poeun Jeong Mong-j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정몽주의 여말선초 종교지형의 변화에 대한 인식 - 현대 다종교․다문화사회에 대한인식을 위한 제언 -

Jeong Mong-ju’s recognition of the religious change at the transitional time from Goryeo to Joseon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麗末의 정세와 圃隱의 明․倭 使行詩 연구-포은의 외교적 역량에 주안하여-

The condition of late Koyro dynasty(麗末) and research of Po-eun's(圃隱) envoy poetry(使行詩) to Ming kingdom(明) & Wei kingdom(倭)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정몽주 숭배의 변화와 위인상(僞人象)

역사와 현실 | 77 | 2010 | 역사학

정몽주 숭배의 변화와 위인상(僞人象)

역사와 현실 | | 77 | 2010 | 역사학

조선조 초기 정몽주·길재 표창과 그 의의

朝鮮朝初期襃獎鄭夢周·吉再以及其意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