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절

연구분야 :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A1104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교육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7915

한자 : 殉節
영어 : Those who died in defense of their honor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몽주 () [ 鄭夢周 ]

포은 설화의 전승 현황과 그 유형

A Study on the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Poeun Jeong Mong-ju Tales

포은학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열녀함양박씨전>에 나타난 정절의식 분석

A Study on Consciousness of Chastity in Yeolleohamyangbakssijeon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角色扮演與榜樣塑造 -從地方志看清代臺灣封旌女性現象的時代差異-

角色扮演과 榜樣塑造 -지방지(地方志)를 통해 본 청대(清代) 대만(臺灣) 봉정(封旌) 여성의 시대적 차이-

중국사연구 | 73 | 2011 | 동양사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에 대한 기억과 전승-‘節義’에 대한 顯彰과 排除를 중심으로-

The Memory of Joseon Captives during the Hideyoshi Invasions and the Legacy Thereof (1592~1598)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xaltation and removal of honor (節義, jeolwui)-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의리정신(義理精神)과 순절(殉節)의 의미

Poeun Jung Mong Ju's Spirit of Loyalty and Significance of Death for Chastity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