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눌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522

한자 : 李安訥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덕수이씨 [ 德水李氏 ]

UF (비우선어)

 

자민 [ 子敏 ]

UF (비우선어)

 

동악 [ 東岳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찬한 [ 趙纘韓 ]

RT_Y (◄관련어)

관련인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애도시 [ 哀悼詩 ]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임진왜란 이후 동래부사의 동래지역 인식과 기억사업

The Perceptions and Commemorative Projects on Dongrae of Head Official of Dongrae-bu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이후 동래부사의 동래지역 인식과 기억사업

The Perceptions and Commemorative Projects on Dongrae of Head Official of Dongrae-bu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朝鮮 士大夫의 孔子 後裔와 交遊-東岳 李安訥의 『孔提督酬唱錄』을 중심으로-

Korean Scholar-officials' Friendship with Confucius Descendants ― Focused on the 『Gong-je-dok-su-chang-rok』by Dongak Yiannul ―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朝鮮 士大夫의 孔子 後裔와 交遊-東岳 李安訥의 『孔提督酬唱錄』을 중심으로-

Korean Scholar-officials' Friendship with Confucius Descendants ― Focused on the 『Gong-je-dok-su-chang-rok』by Dongak Yiannul ―

漢文敎育硏究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