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론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549

한자 : 二元論
영어 : dual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심신 이원론 [ 心身二元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관련 사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마니교 [ 摩尼敎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속성 이원론 [ 屬性 二元論 ]

인권법적 관점에서 본 국제법과 EU법의 관계 - ECJ의 Kadi 판결과 Solange 이론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EU Law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 with Emphasis upon the Kadi Judgment of the ECJ and Solange Doctrine -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인권법적 관점에서 본 국제법과 EU법의 관계 - ECJ의 Kadi 판결과 Solange 이론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EU Law from a Human Rights Perspective - with Emphasis upon the Kadi Judgment of the ECJ and Solange Doctrine -

국제법학회논총 | 55 | 4 | 2010 | 법학

영성과 성性의 통합: 유심론와 성차별주의의 이원론을 넘어 —몸Body, 성별Gender, 성Sexuality에 관한 여성주의자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Integrating Spirituality and Sexuality

신학과 선교 | 39 | 2011 | 기독교신학

칸트의 인식론적 이원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Hegels Kritik am erkenntnistheoretischen Dualismus von Kant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전일의학을 위한 대체의학에로의 현상학적 접근

A Phenomenological Foundation for Holistic Medicine

철학 | 108 | 2011 | 철학

北村透谷의 思想的推移와 西洋哲學史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 Change Process in Thought of Tokoku Kitamura

일본어문학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北村透谷의 思想的推移와 西洋哲學史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the Change Process in Thought of Tokoku Kitamura

일본어문학 | | 49 | 2010 | 일본어와문학

듀이의 교육이론에 나타난 교사중심성에 대한 연구: 권위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er-centeredness in John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A Focus on the Concept of Authority

교육철학연구 | 34 | 3 | 2012 | 교육학

How Does Consciousness Merely Naturally Supervene on the Physical?

현상적 의식이 물질에 단지 자연적으로 수반할 수 있는가?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에 나타난 생태주의- 동물 소재를 중심으로 -

Ecology in Tolstoy's Work of Children's Literature : with Priority Given to the Animal Subject Matter

생태유아교육연구 | 11 | 3 | 2012 | 유아교육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Three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

데까르뜨의 도덕론에서 고통과 배고픔의 문제 - 정신의 형이상학에서 인간의 도덕학으로

The Problem of Pain and Hunger in Descartes's Moral Theory - From Metaphysics of Mind to Moral Philosophy of Human beings.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

Critical Evaluation of Arthur Peacocke’s Theory of Divine Action

아더 피콕의 하나님의 행동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개혁논총 | 19 | 2011 | 기독교신학

칼뱅의 이중정부론에 비추어 본 한국 교회의 정교분리 사상 : 자성적 칼빈주의

Thought of Separation between Church and State in Theory of Dual-Government : Reflective Calvinism

개혁논총 | 20 | 2011 | 기독교신학

퇴계의 일원론적 사상:매화시를 중심으로

The Monistic Ideas of T'oegye in Special Reference to Maehwa(梅花)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0 | 2012 | 현대시(국문학)

참된 그리스도인은 무신론자여야 하는가? -에른스트 블로흐의 『그리스도교안의 무신론』과의 대질-

Should an Authentic Christian Be Atheistic? -A Catholic Confrontation with Ernst Bloch’s Atheismus im Christentum-

가톨릭철학 | 18 | 2012 | 철학

보스니아 보고밀교의 기원과 그 성격, 그리고 발전 과정

Bosnian Bogomil: It's Origins and Characteristics

슬라브학보 | 27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미국법상 통상조약의 국내적 이행에 관한 연구

Interna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in the U.S. legal system

법학연구 | 22 | 2 | 2012 | 기타법학

데카르트에서 영혼과 몸의 결합과 그 현상으로서의 정념: 지각, 감정, 동요

L’union de l’âme et le corps et les passions comme phénomène de l’union: la perception, le sentiment et l’émotion

철학연구 | 45 | 2012 | 철학

朱子의 太極一元論 연구

关于朱子的太极一元论之研究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이원론에 기초한 사회학 벗어나기: ‘사회적인 것’의 종말?

Beyond the Sociology based on Dualism: the End of 'the Social'?

사회과학연구 | 24 | 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말타고 떠난 여자」: 음양합일의 황홀경

“The Woman Who Rode Away”: The Ecstasy of Oneness in Which Dark(Yin) and Light(Yang) Encounter

D.H. 로렌스 연구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말타고 떠난 여자」: 음양합일의 황홀경

“The Woman Who Rode Away”: The Ecstasy of Oneness in Which Dark(Yin) and Light(Yang) Encounter

D.H. 로렌스 연구 | 18 | 1 | 2010 | 영어와문학

D. H. 로렌스와 토마스 하디의 만남: 어둠과 빛이 빚어낸 여성주의 −「토마스 하디 연구」와 『테스』를 중심으로−

An Encounter of D. H. Lawrence and Thomas Hardy: Feminism in Which Dark and Light Encounters−focused on “Study of Thomas Hardy” and Tess of the D’Urbervilles

D.H. 로렌스 연구 | 19 | 1 | 2011 | 영어와문학

칸트의 二元論과 나가르주나의 二諦說 연구

Investigation on the comparision between Kant's dualism and Nagarjuna's two types of truths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