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준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627

STNet ID : 1000733

한자 : 李淸俊
기타 : Lee Cheong-jun
기타 : Lee Chung-jun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풍자 소설 () [ 諷刺小說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사상계 [ 思想界 ]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문학에서의 ‘어머니’ 표상과 ‘희생’ 서사

The Representation of Mother and the Narrative of Sacrifice in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자유를 표현하는 방식과 그 의미-이청준론

The Way How to Express Freedom and the Mean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The Process of Becoming Mass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1960s~1970s' Korea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Novel Education as Value Inquiry Activity

새국어교육 | 86 | 2010 | 국어교육

가치탐구활동으로서의 소설교육

Novel Education as Value Inquiry Activity

새국어교육 | | 86 | 2010 | 국어교육

공감의 기제로서의 서사 텍스트 - 「소문의 벽」과 「빈 방」을 중심으로

A Narrative Text as a Mechanism of Empathy - Focused on 「The Wall of a Rumor」 and 「The Empty Roo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현대소설과 성서신학의 ‘교통 공간’ -이청준, 이문열, 이승우의 몇몇 작품을 중심으로

Contemporary Korean Novels in Association with Biblical Theology in View of Some Works by Chungjoon Lee, Munyeol Lee, and Seungwoo Lee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3 | 2011 | 기독교신학

연작소설의 구조미학 - 『서편제』 연작을 중심으로-

The Structure aesthetics of a series of novels- Revolve around Chung-joon Lee's Seopyeonje -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작소설의 구조미학 - 『서편제』 연작을 중심으로-

The Structure aesthetics of a series of novels- Revolve around Chung-joon Lee's Seopyeonje -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알레고리 고찰

The Consideration on Lee Chung Zun's『heaven of you』 allegory notation

배달말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알레고리 고찰

The Consideration on Lee Chung Zun's『heaven of you』 allegory notation

배달말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집단학살의 기억과 서사적 대응

Narrative Response for Memory of Genocide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알레고리스트의 위치와 「비화밀교」의 정치성

The location of allegorist and political nature in "Secret fire, Esoteric Buddhism" Lee Chung―jun's fiction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욕망의 윤리적 소통 - 이청준의 소설과 소설론에 대한 인간학적 접근

Moral Communication in a Desire - Lee Cheong-jun's Novel and Theory of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의 시․공간적 특징과 알레고리 ―연작소설 『서편제』를 중심으로

Yi Chungjun novel's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llegory ―fiction series 'Sopyonje' by focusing 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원무>에 나타난 신문 연재소설의 서사 문법과 작가의 비판 의식

The Narrative Grammars of a Serial Novel in a Newspaper and the Author’s Criticism in Lee Cheong-Jun’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희생제의’로서의 글쓰기 의미 고찰

Contemplating the Signification of Writing as of the Sacrificial Ritual in novels of Lee, Cheong-Jun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종교관 고찰 -≪당신들의 천국≫과 ≪낮은 데로 임하소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View of Religion in Lee Cheong-jun’s Novel -focused on ≪Your paradise≫ and ≪Let yourself dow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 정치적 알레고리 읽기

Reading Political Allegory in Lee Cheong-jun's Your Heaven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제3의 현장』과 추리소설의 문법

“The third scene of the crime” and a rule of ‘mystery novel’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이청준의 창작론 연구 (1) ―‘진실의 증거’를 향한 도정(道程)

A Study on Lee Cheong-jun's Creative Writing Theory (1) : A Journey to the Evidence of Truth

현대문학이론연구 | 49 | 2012 | 문학이론

욕망의 윤리적 소통 - 이청준의 소설과 소설론에 대한 인간학적 접근

Moral Communication in a Desire - Lee Cheong-jun's Novel and Theory of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원무>에 나타난 신문 연재소설의 서사 문법과 작가의 비판 의식

The Narrative Grammars of a Serial Novel in a Newspaper and the Author’s Criticism in Lee Cheong-Jun’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종교관 고찰 -≪당신들의 천국≫과 ≪낮은 데로 임하소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View of Religion in Lee Cheong-jun’s Novel -focused on ≪Your paradise≫ and ≪Let yourself down≫-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희생제의’로서의 글쓰기 의미 고찰

Contemplating the Signification of Writing as of the Sacrificial Ritual in novels of Lee, Cheong-Jun

어문론총 | 56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의 『당신들의 천국』에 나타난 정치적 알레고리 읽기

Reading Political Allegory in Lee Cheong-jun's Your Heaven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제3의 현장』과 추리소설의 문법

“The third scene of the crime” and a rule of ‘mystery novel’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