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계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778

STNet ID : 1001129

한자 : 思想界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종합지 [ 綜合誌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思想界--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청준 () [ 李淸俊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잉여인간 (1958) [ 剩餘人間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황석영 (1943-) [ 黃晳暎 ]

RT (관련어)

연재소설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북간도 [ 北間島 ]

R2:기능적

hasFounder (설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백낙준 [ 白樂濬 ]

hasFounder (설립자)

 

 

장준하 ()

번역된 냉전, 그리고 혁명; 사르트르, 마르크시즘, 실존과 혁명

Translated Cold War and Revolution; Sartre, Marxism, Existentialism and Revolution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1950년대 실존주의 수용사 연구-'교양'으로서의 실존주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Acceptance history of Existentialism in the 1950s- Focusing on existentialism as "culture"(Bildung)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1950~70년대 역사학계와 역사연구의 사회담론화 -『사상계』와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Social Discourse for Historical Academia and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1950s to 1970s: Focusing on Sasangge and The Quarterly Changbi

동방학지 | 152 | 2010 | 기타인문학

1950~70년대 역사학계와 역사연구의 사회담론화 -『사상계』와 『창작과비평』을 중심으로-

Social Discourse for Historical Academia and Historical Research from the 1950s to 1970s: Focusing on Sasangge and The Quarterly Changbi

동방학지 | | 152 | 2010 | 기타인문학

황동규 초기시에 나타난 방황하는 청년 표상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young man in Hwang dong-kyu's early poem.

새국어교육 | 89 | 2012 | 국어교육

장준하의 언론사상 연구

Jang Jun-Ha’s Journalism Thought

한국언론정보학보 | 59 | 3 | 2012 | 신문방송학

좌담회 <근대의 초극>론의 서막* -1950년대의 담론공간과 다케우치 요시미의 「근대의 초극」-

<近代の超克>論の序幕 -1950年代における言説空間と竹内好「近代の超克」-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Ham Seok-hon's perspective on the people and the discourse of democracy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Ham Seok-hon's perspective on the people and the discourse of democracy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사회’의 문학․반행동주의․아카데미즘: 1950년대 『사상계』의 문학성 인식과 최재서의 전략

Literature of ‘Society’․Anti-Activism․Ancademism : Awareness of Literary Value in Sasanggye in the 1950’s and Jae-Seo Choi’s Strategy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상계』에 나타난 농촌인식 - 1950년대 농촌담론을 중심으로 -

The rural recognition in Sasangge- Centering around the rural discourse in the 1950's

서강인문논총 | 31 | 2011 | 기타인문학

사상계 동양 담론 분석

Sasanggye Analysis of Oriental Discourse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4.19직후 『사상계』의 민주화 담론과 소설에 제기된 연좌제 문제

A discourse for democrac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Guilt-by-association System in Novels Written in Sasanggye after the 4.19 Revolution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직후 『사상계』의 민주화 담론과 소설에 제기된 연좌제 문제

A discourse for democracy and the Significance of the Guilt-by-association System in Novels Written in Sasanggye after the 4.19 Revolution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