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항복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B140000 사회과학 > 행정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644

STNet ID : 1000734

한자 : 李恒福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오성

UF (비우선어)

 

 

오성부원군 [ 鰲城府院君 ]

UF (비우선어)

 

 

소운 [ 素雲 ]

UF (비우선어)

 

 

동강 [ 東岡 ]

UF (비우선어)

 

 

청화진인 [ 淸化眞人 ]

UF (비우선어)

 

 

필운 [ 弼雲 ]

UF (비우선어)

 

 

백사 [ 白沙 ]

UF (비우선어)

 

자상 [ 子常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호성공신 [ 扈聖功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위성공신 [ 衛聖功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영의정 [ 領議政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평난공신 (1589) [ 平難功臣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성구 () [ 李聖求 ]

RT (관련어)

 

 

정여립의 옥사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덕형 [ 李德馨 ]

RT (관련어)

문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계원 () [ 趙啓遠 ]

RT (관련어)

제안자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청난공신 [ 淸難功臣 ]

<사씨남정기> 교씨의 인물형상과 의미

The Figure and Meaning of Gyossi(喬氏) character in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汾西 朴瀰의 書畵애호와 그 기록 -「丙子亂後集舊藏屛障記」를 중심으로-

Bunseo Park-Mi(朴瀰)’s love with calligraphy and paintings and its recordings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후반 碑誌類 文章의 美意識 분화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changes of an aesthetic sense of epitaphsin late 16th centur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鄭斗卿의 교유관계와 교유시

Companionship Of Jeong Du-Gyeong(鄭斗卿) And Friendship Poetry

고전과 해석 | 12 | 2012 | 국문학사

杜詩 「同谷七歌」의 韓國的 受容의 한 樣相

An aspect of the acceptance of Donggokchilga (同谷七歌) in Korean poem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杜詩 「同谷七歌」의 韓國的 受容의 한 樣相

An aspect of the acceptance of Donggokchilga (同谷七歌) in Korean poems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월사 이정구의 정치적 시련과 시적 표현

A Study on Political Hardship and Poetry Expression of Wol-Sa Jeong-Ku Lee

한국인물사연구 | 16 | 2011 | 역사학

16세기 후반 碑誌類 文章의 美意識 분화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changes of an aesthetic sense of epitaphsin late 16th century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항복의 골계적 기질과 웃음의 이면(裏面) -문학작품과 우스개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Nature of Lee, Hangbok’s Humor and Inside of Laugh -With the literary works and humorous stories about him-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항복의 골계적 기질과 웃음의 이면(裏面) -문학작품과 우스개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Nature of Lee, Hangbok’s Humor and Inside of Laugh -With the literary works and humorous stories about him-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恒福 이야기의 전승 동력과 기원 - 諧謔의 코드를 중심으로 -

Driving Force of Inheritance and Origin of Yi Hang-bok(李恒福) Stories - Focused on the code of humor -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