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군란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사건명/회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929

한자 : 壬午軍亂

y03-01 사건명/회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도봉소 사건 [ 都捧所事件 ]

B2:전체

BT (상위어)

 

 

군변 [ 軍變 ]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개화운동 () [ 開化運動 ]

isCausedBy (원인)

 

 

군료분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한국의 화교 [ 韓國--華僑 ]

resultsIn (산물/결과)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갑신정변 [ 甲申政變 ]

淸代 朝行錄 전승 현황과 특성

The Joseon Visit Report written by Chinese of Qing Dynastic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淸代 朝行錄 전승 현황과 특성

The Joseon Visit Report written by Chinese of Qing Dynastic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 - 한일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

韓日史葛藤の根を探して -韓日係の化と督部刊行の朝鮮史記述を中心に-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서울 吳武壯公祠의 歷史와 現況 고찰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Wu wuzhuanggong shrine in Seoul

중국사연구 | 74 | 2011 | 동양사

1880년대 金昌熙의 經世思想 - 임오군란 직후 부강정책의 재설정 -

The idea of the Confucian statecraft in the writings of Kim Changhee in 1880's - the remodelling of the policy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hortly after the military uprising of the year 1882 -

한국사상사학 | 35 | 2010 | 역사학

1880년대 金昌熙의 經世思想 - 임오군란 직후 부강정책의 재설정 -

The idea of the Confucian statecraft in the writings of Kim Changhee in 1880's - the remodelling of the policy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shortly after the military uprising of the year 1882 -

한국사상사학 | | 35 | 2010 | 역사학

吳長慶軍營과 그 막료들 ―조선 견문록 3종을 중심으로

Wu Zhangqing Military Camp and Its Officials - Based on Three Travelogues to Joseon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