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화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942

STNet ID : 1000761

한자 : 林和
기타 : Im Hwa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

 

임인식 [ 林仁植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카프 () [KAPF]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a01-04-03 인간(거주상황)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월북 작가 () [ 越北越北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프롤레타리아 [proletariat]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단편 서사시 () [ 短篇敍事詩 ]

RT (관련어)

 

 

프로시 () [ --詩 ]

김기림 시론 연구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Kim, Ki-rim's Poetics ―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Organicism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민족문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문화산업과 저널리즘의 탈근대적 대중미학의 발견 -아도르노, 벤야민, 임화를 중심으로-

The Discovery of Post-modern Popular Aesthetics in the Cultural Industry and Journalism - Focusing on Adorno, Benjamin, Imwha -

인문콘텐츠 | 20 | 2011 | 기타인문학

이식의 발명과 또 다른 근대 - 1930년대 후반기 임화 비평의 경우

Transplanted Modernity and Its Alternatives in Im Hwa’s Late-1930s Writing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2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문학과 ‘감각’의 문제 - 김기림과 임화의 시론을 중심으로

‘Sensation’ and Literature in 1930s - Focusing on Poetics of Kim, Gi-rim and Im, Hwa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문학과 ‘감각’의 문제 - 김기림과 임화의 시론을 중심으로

‘Sensation’ and Literature in 1930s - Focusing on Poetics of Kim, Gi-rim and Im, Hwa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radition on Literature, Prose and Literary Hi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문학론·문장론·문학사론에서의 전통의 문제 ― 이광수·이태준·임화를 중심으로 ―

Problems of Tradition on Literature, Prose and Literary Histo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의 정치화와 시적인 것의 정치성 임화의 「네 거리의 순이」와 이상의 「가외가전(街外街傳)」에 나타난 시적 주체(화자) 유형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The Politicalization of the poem and the political of the poetic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1 | 2011 | 기타인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정주 초기시의 근대성 재론 -‘육체’와 ‘직정언어’의 문제를 중심으로

Rethinking the Modernity of Seo Jeongju's Early Poems -Focused on the Problem of 'Body' and 'Chikjung-languag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이식문화론’에 나타난 탈식민성 - 호미 바바의 ‘혼종성’ 담론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임화 시에 나타난 ‘바다’의 상징성 연구―현해탄 연작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ymbolism of ‘Sea’ Represented in Hwa Lim’s Poems.

인문학연구 | 38 | 2 | 2011 | 기타인문학

임화 시에 나타난 ‘용기’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courage’ portrayed in Hwa Im's poem

한국언어문화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 시에 나타난 ‘용기’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courage’ portrayed in Hwa Im's poem

한국언어문화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와 일본 나프의 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m Hwa’s poetry and Japanese Proletaria Poetry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와 일본 나프의 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m Hwa’s poetry and Japanese Proletaria Poetry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移植’ 논의를 통해 본 林和의 新文學史論

An Essay about Reappraisal on The Naming of “Theory of Transplantation literature” by Lym Wha(林和)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移植’ 논의를 통해 본 林和의 新文學史論

An Essay about Reappraisal on The Naming of “Theory of Transplantation literature” by Lym Wha(林和)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임화와 일본 나프의 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m Hwa’s poetry and Japanese Proletaria Poetry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와 일본 나프의 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m Hwa’s poetry and Japanese Proletaria Poetry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비평론 연구

A Study on the Limwha's Meta- criticism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비평론 연구

A Study on the Limwha's Meta- criticism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An Ontology of Chosun Cinema: on Im Hwa's "On Chosun Cinema (1941)"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An Ontology of Chosun Cinema: on Im Hwa's "On Chosun Cinema (1941)"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영화의 존재론 : 임화(林和)의 「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An Ontology of Chosun Cinema: on Im Hwa's "On Chosun Cinema (1941)"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탈-중심적 문학사의 주체화와 그 가능성의 조건들- 임화 「개설 신문학사」재독(再讀)

An introduction of de-centralized history of literature and its possible conditions - A re-interpretation on Lim Hwa's 『The history of new literatur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문학사』의 서술 방법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the New Literary History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하 林和의 언어관과 ‘民族’의 포착

Im Hwa’s view on language and comprehending the national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일제하 林和의 언어관과 ‘民族’의 포착

Im Hwa’s view on language and comprehending the national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일제하 林和의 언어관과 ‘民族’의 포착

Im Hwa’s view on language and comprehending the national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일제하 林和의 언어관과 ‘民族’의 포착

Im Hwa’s view on language and comprehending the national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林和의 조선영화론 ―영화사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Im Hwa[林和]'s Cinematic Discourse : on the Topology of Film History and the Dialectics of 'Artistic Value and Industrialization'

대동문화연구 | 75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