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씨삼대록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042

STNet ID : 1003047

한자 : 劉氏三代錄
기타 : Yussisamdaerok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소현성록 [ 蘇賢聖錄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국문 장편 소설 () [ 國文長篇小說 ]

RT (관련어)

후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유효공선행록 [ 柳孝公善行錄 ]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f women's silence in classic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f women's silence in classic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f women's silence in classic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劉氏三代錄』과 『林氏三代錄』의 비교 연구 -幻想性의 具現樣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Yussisamdaerok』 and 『Limssisamdaerok』 -Around the Embodiment of Fantas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劉氏三代錄』과 『林氏三代錄』의 비교 연구 -幻想性의 具現樣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Yussisamdaerok』 and 『Limssisamdaerok』 -Around the Embodiment of Fantas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씨삼대록」의 감정 규칙과 독서경험

The feeling rules of 「유씨삼대록Yussisamdaerok」 and the reading experiences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유씨삼대록」의 감정 규칙과 독서경험

The feeling rules of 「유씨삼대록Yussisamdaerok」 and the reading experiences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유씨삼대록> 속 이민족 여성의 형상화와 그 의미

A Study on the Marriage of Foreign Woma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LimSsiSamdaerok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