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장편 소설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35

STNet ID : 1003778

한자 : 國文長篇小說
영어 : Korean long piece novel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소현성록 [ 蘇賢聖錄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판소리계 소설 () [ --系小說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문 장편 소설 () [ 漢文長篇小說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문 소설 [ 家門小說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유씨삼대록 () [ 劉氏三代錄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조씨삼대록 [ 曺氏三代錄 ]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 ‘생활-문화’ 항목 설계의 방향과 의미

Study on Orientation and Meaning of the ‘Life-Culture’ Category’s Design in Appreciation Encyclopedia

한국문화연구 | 21 | 2011 | 기타인문학

19세기 소설사의 쟁점과 전망

The Central Issues and Prospective Consideration in the History of the 19th Century Novels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국문장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Course Materials to Teach About Ancient Korean Women's Living Culture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고전소설 속 여성 생활 문화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국문장편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Classical Korean Novels as Course Materials to Teach About Ancient Korean Women's Living Culture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국문장편소설 공간 구성 고찰 - <임씨삼대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Feature-Length Korean Classical Novels with a Focus o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보은기우록>에 나타난 망모(亡母) 추모 양상과 그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Memory of the Mother in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보은기우록>에 나타난 망모(亡母) 추모 양상과 그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Memory of the Mother in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국문장편소설의 묘사담론 연구

Study on descriptive discourses in Korean long piece novels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국문장편소설의 묘사담론 연구

Study on descriptive discourses in Korean long piece novels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 - <소현성록>의 소운성

The Prototype of a Heroic Patriarch - So Un-seong in Sohyeonseongnok -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8ㆍ9세기 여성중심적 소설과 여성인식의 다층적 면모 -국문장편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의 여주인공 형상화 비교-

A Study on the Feminine Centered Novel and Multi-Layered Aspect of Feminine Cognition in the 18th-19th Century in Korea -the Comparison of Heroine Figure betwee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and Korean Classical Heroine-Novel-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현씨양웅쌍린기>의 서사적 힘; 웃음

A Study on the use of Laugh in HyunShiYangWoongShangLinKi

한민족문화연구 | 3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