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 속 불교적 인물의 성격과 역할 - 說話와 17세기 이후 古小說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The personality and role of Buddhist characterin the old novels -focused on contrast between folk tales and old novels after 17thcentu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 속 불교적 인물의 성격과 역할 - 說話와 17세기 이후 古小說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
The personality and role of Buddhist characterin the old novels -focused on contrast between folk tales and old novels after 17thcentury-
우리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女性英雄의 敍事的 傳統과 古小說에서의 受容과 變貌
The narrative tradition of heroines and its acceptance and changes in the old novels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 - <소현성록>의 소운성
The Prototype of a Heroic Patriarch - So Un-seong in Sohyeonseongnok -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Classical Novels Written in 17th-18th Centuries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웅호걸형 가장(家長)의 시원(始原) - <소현성록>의 소운성
The Prototype of a Heroic Patriarch - So Un-seong in Sohyeonseongnok -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운성’을 통해 본 <소현성록>의 성장소설적 성격
Sohyeonseongrok's Characteristics as a Initiation Story seen through So-Unseong
어문학 |
|
108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부장제하 여성으로서의 삶과 좌절되는 행복 − <소현성록>의 화부인을 중심으로 −
Women's Lives under Patriarchy and Their Frustrated Happines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Lady Hwa in Sohyeonseongn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出生譚을 통해서 본 <蘇賢聖錄> 家門意識의 발현 양상
The revelation aspects of the family consciousness in through birth-folk tales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出生譚을 통해서 본 <蘇賢聖錄> 家門意識의 발현 양상
The revelation aspects of the family consciousness in through birth-folk tales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蘇賢聖錄」 人物 出生譚의 特徵과 敍事的 機能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 of the Character’s Born-Folk Tales in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부장제하 여성으로서의 삶과 좌절되는 행복 − <소현성록>의 화부인을 중심으로 −
Women's Lives under Patriarchy and Their Frustrated Happines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Lady Hwa in Sohyeonseongn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