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주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741

STNet ID : 1003201

한자 : 洪吉周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헌중 [ 憲仲 ]

UF (비우선어)

 

항해자 [ 沆瀣子 ]

R1:개념적

RT (관련어)

동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석주 () [ 洪奭周 ]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筆記의 特徵과 樣相 -豊山 洪氏 筆記類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writing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based upon Poongsan Mr. Hong-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朝鮮後期 筆記의 特徵과 樣相 -豊山 洪氏 筆記類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writing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based upon Poongsan Mr. Hong-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惠寰‧無名子‧沆瀣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본 ‘人-文’의 경계와 글쓰기의 형이상학

A Meta-criticism about Border of Human beings between Writings through analyzing of critical essays of Lee Yong-Hyu(李用休)ㆍYoon Ki(尹愭)ㆍHong Gil-Ju(洪吉周) in the late Joseon Period

동방학지 | 155 | 2011 | 기타인문학

惠寰‧無名子‧沆瀣의 비평적 글쓰기를 통해 본 ‘人-文’의 경계와 글쓰기의 형이상학

A Meta-criticism about Border of Human beings between Writings through analyzing of critical essays of Lee Yong-Hyu(李用休)ㆍYoon Ki(尹愭)ㆍHong Gil-Ju(洪吉周) in the late Joseon Period

동방학지 | 155 | 2011 | 기타인문학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Hong-Gil-Ju(洪吉周)'s the dream of ‘Sam-Sa(三事)’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Hong-Gil-Ju(洪吉周)'s the dream of ‘Sam-Sa(三事)’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Hong-Gil-Ju(洪吉周)'s the dream of ‘Sam-Sa(三事)’

동방한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事’의 꿈, 홍길주의 「여의침명서」 재론을 겸해

Hong-Gil-Ju(洪吉周)'s the dream of ‘Sam-Sa(三事)’

동방한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