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주

연구분야 : B140000 사회과학 > 행정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810

STNet ID : 9005462

한자 : 洪奭周
시호(諡號) : 문간(文簡)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성백 [ 成伯 ]

UF (비우선어)

 

연천 [ 淵泉 ]

R1:개념적

RT (관련어)

교유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혼 () [ 張混 ]

RT (관련어)

동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홍길주 [ 洪吉周 ]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19세기 ‘實事求是’의 다양한 층위와 학적 지향

Diverse stratigraphies and academic register orientation in ‘Shilsagushi’ in the 19th century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筆記의 特徵과 樣相 -豊山 洪氏 筆記類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writing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based upon Poongsan Mr. Hong-

漢文學報 | 22 | 2010 | 한문학

朝鮮後期 筆記의 特徵과 樣相 -豊山 洪氏 筆記類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writing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Dynasty -based upon Poongsan Mr. Hong-

漢文學報 | 22 | | 2010 | 한문학

조선시대 {老子} 주석서에서 ‘仁義’와 ‘私’ 개념의 전개

Developing of 'benevolence and justice(仁義)' and 'individual's self desire(私欲)' in Chosŏn commentators of Daodejing (道德經)

한국철학논집 | 31 | 2011 | 한국철학일반

홍석주의 시론 연구

A Study on Hong, Seok-ju(洪奭周)’s Poetics

국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석주의 시론 연구

A Study on Hong, Seok-ju(洪奭周)’s Poetics

국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천 홍석주의 고증학 비판양상과 그 의미

A crituque style of Yeon Cheon Hong Seok-Joo’s Kho Jeung Science and its implica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2 | 2011 | 한문비평

연천 홍석주의 교유시에 대하여

A Study on the Friendship Poems of Hong Seokju(洪奭周)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연천 홍석주의 교유시에 대하여

A Study on the Friendship Poems of Hong Seokju(洪奭周)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Hong Suk-ju(洪奭周)'s spatial imagination represented in his geographical works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홍석주의 지리적 상상력: ‘노정표’ 만드는 사람

Hong Suk-ju(洪奭周)'s spatial imagination represented in his geographical works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