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화 효과

연구분야 : B210100 사회과학 > 심리과학 > 심리학이론/심리학사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06

한자 : 點火效果
영어 : priming effect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5-02 결과 결과

효과 [ 效果 ]

R1:개념적

RT (관련어)

 

 

매스 미디어 영향력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연상 강도 [ 聯想强度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인지 과정 [ 認知過程 ]

PPL 관련 정보 노출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 설득지식의 점화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Exposure to PPL-related Information on Consumer Brand Attitude -The Role of Priming of Consumer Persuasion Knowledge in PPL-

홍보학연구 | 15 | 1 | 2011 | 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점화효과 -환경이슈를 중심으로

Visual Priming Effect of Television News-Focusing on the Environmental Issue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 18 | 2010 | 정치커뮤니케이션

텔레비전 뉴스의 영상과 음향의 미디어효과 - 4대강사업 관련 뉴스를 중심으로 -

Media Effect of Imagery and Sound of TV News - Focused on 4 Major-Rivers Project News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36 | 2011 | 정보디자인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텔레비전 뉴스의 시각적 요소가 수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Cues in TV Environmental News on the Viewer's Approval Rating of 4 Major-Rivers Project : Focusing on the Priming & ELM theory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 | 5 | 3 | 2010 | 기타신문방송학

지폐 사용 시 나타나는 대응반응의 심리적 기제

A psychological mechanism of matching response in using bills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 13 | 1 | 2012 | 심리과학

목적점화효과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ors of Goal Priming Effect

소비문화연구 | 13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목적점화효과의 조절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ors of Goal Priming Effect

소비문화연구 | 13 | 4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시각과 청각 자극에 따른 의미점화효과 연구

Semantic Priming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i in Picture Naming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6 | 1 | 2011 | 교육학

대명사 ‘나’와 ‘너’의 사회 인지적 표상 차이

The Difference of Social Cognitive Representation for Personal Pronouns ‘I’ and ‘You’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1 | 2 | 2012 | 심리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