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발

연구분야 : A030300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311

한자 : 未發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수양론 [ 修養論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발 [ 理發 ]

도남학파의 미발수행론 고찰

Eine Studie über die Bildung in der Donam Schule(道南学派)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潛冶 朴知誡의 人心道心說

The Theory of Insin-Dosim in Pak Jigye's Philosophy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주희의 공부론 : 불교 수행론과의 관련

Chu Hsi's Theory of Self-Cultivation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Buddhist Practice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도남학파의 미발수행론 고찰

Eine Studie über die Bildung in der Donam Schule(道南学派)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남당(南塘) 미발론과 공부론의 현실적 함의

Han Wonjin’s Conception of Wei-fa(not-yet-arousal) and It’s Politico-Moral Implication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주자와 우암의 미발설 비교 연구-미발시 괘상(卦象) 배속의 문제를 중심으로-

朱子与尤庵未发说比较研究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송시열과 박상현의 미발 논변: 미발과 기질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Debate on Mibal(未發) between Song Si-Yeol and Park Sang-Hyun: Focusing on the Problem of Understanding Mibal in Relation to Kijil(氣質)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주자와 다산의 미발설과 수양론적 특징

朱子和茶山的未发说与其修养论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退溪의 未發說과 居敬의 修養論

退溪之未发说及“居敬”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중국 미용관련 법률 연구

中國 美容關聯 法律 硏究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3 | 2010 | 미용

중국 미용관련 법률 연구

中國 美容關聯 法律 硏究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3 | 2010 | 미용

외암(巍巖)의 미발설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巍巖的未发说及心性一致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외암(巍巖)의 미발설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巍巖的未发说及心性一致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현실적 원인과 전환시대의 논리로 본 이황의 생애와 사상

Realistisch, die Logik von Ursache-und Übergangs-Ära über das Leben und Denken dieses Yi Hwang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주자 공부론에서 함양(涵養)의 의미: 메타프락시스적 접근

The Meaning of Mind-Cultivation in Chu Hsi's Theory of Education: A Metapractical Perspective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미발설과 자아 개념 ― 이승환 교수의 미발설 비판 ―

Wei-fa Theory and Concept of ‘Self’ ― a critique against Prof. Lee's concept of wei-fa ―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조선후기 미발논의의 전개양상과 수양론의 제반유형

朝鲜后期未发论的展开样态与修养论的诸多类型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