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발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47

STNet ID : 1000725

한자 : 理發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호발설 [ 理氣互發說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리론 [ 主理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론 [ 理氣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성리학 () [ 朝鮮性理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단칠정 () [ 四端七情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퇴계학 () [ 退溪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퇴고 [ 退高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c02-01 감정 감정

미발 [ 未發 ]

潛冶 朴知誡의 人心道心說

The Theory of Insin-Dosim in Pak Jigye's Philosophy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주자와 왕양명의 체용론 비교 연구

朱子與陽明的體用論比較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 李滉의 理發重視的 書藝認識

Important of Principle's act in T'oe-gye Yi Hwang's the conception of calligraphy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발설과 자아 개념 ― 이승환 교수의 미발설 비판 ―

Wei-fa Theory and Concept of ‘Self’ ― a critique against Prof. Lee's concept of wei-fa ―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