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단칠정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801

STNet ID : 1000444

한자 : 四端七情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칠설 [ 四七說 ]

UF (비우선어)

 

 

사칠 [ 四七 ]

UF (비우선어)

 

 

사단 칠정설 [ 四端七情說 ]

UF (비우선어)

 

 

4단 7정론 [ 四端七情論 ]

UF (비우선어)

 

 

사단 칠정론 [ 四端七情論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정론 [ 性情論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2-01 감정 감정

칠정 [ 七情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단 [ 四端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양지심 [ 辭讓之心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기발이승일도설 [ 氣發理乘一途說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기론 [ 主氣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발 [ 理發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심성론 [ 理氣心性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성론 [ 人性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호발설 [ 理氣互發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퇴계학 () [ 退溪學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천명도설 [ 天命圖說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기발 [ 氣發 ]

河西 성리학의 철학사적 고찰 -한국유학사에서 知覺論의 태동과 하서의 역할-

A Study on Ha-seo's Philosophical Thought: The Emergence of Chih-Chüeh Theory and His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河西 성리학의 철학사적 고찰 -한국유학사에서 知覺論의 태동과 하서의 역할-

A Study on Ha-seo's Philosophical Thought: The Emergence of Chih-Chüeh Theory and His Role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18 | 2010 | 기타유교학

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

守夢鄭曄的生涯和性理學

孔子學 | | 18 | 2010 | 기타유교학

고등학교 윤리교육에서 퇴계사상의 내용 구성 방향과 수업 방략 탐색

An Analysis on the context of Toegye's Thought in the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고등학교 윤리교육에서 퇴계사상의 내용 구성 방향과 수업 방략 탐색

An Analysis on the context of Toegye's Thought in the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

A Study on How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Neo-Confucianism System between Lee Hwang and Lee Yi(Ⅰ)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이현일의 리기 합ㆍ이간에 따른 주리론 ― 이이 성리학 辨析을 중심으로

Lee Hyunil's 'JURIRON' based on combined divided viewing the ri(理) and gi(氣) ― Focus on criticizing Yulgok's Neo-Confucianism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이현일의 리기 합ㆍ이간에 따른 주리론 ― 이이 성리학 辨析을 중심으로

Lee Hyunil's 'JURIRON' based on combined divided viewing the ri(理) and gi(氣) ― Focus on criticizing Yulgok's Neo-Confucianism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율곡 성리설에 대한 갈암과 우담 비판이론의 대비적 고찰

對於栗谷之性理說葛庵和愚潭批判理論之對比的考察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다산 윤리학의 실천적 특성과 이론적 한계-사단칠정과 인심도심 그리고 덕德의 문제를 중심으로

Practical Character and Theoretical Limits of Tasan’s Ethics: Focusing on Four Beginnings-Seven Emotions, Human Mind-Moral Mind, and Virtue

다산학 | 20 | 2012 | 인문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농암 김창협의 학문 수용과 지각론

Nongam Kim Chang-Hyeop's Acceptance of Studies and Theory of Intelligence and Perception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