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발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465

한자 : 氣發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호발설 [ 理氣互發說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리론 [ 主理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론 [ 理氣論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성리학 () [ 朝鮮性理學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단칠정 () [ 四端七情 ]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마음의 理氣와 자연의 理氣 정약용의 四端七情論爭 평가에 대한 재평가

Li-gi of Mind-heart and Li-gi of Nature: A Revaluation on Jeong Yak-yong's Evaluation on Four-Seven Debate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高峰은 退溪의 四端七情說에 동의하였는가 -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Did Gobong Agree with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 Focused upon Four Foundation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

유교사상문화연구 | 42 | 2010 | 유교학

高峰은 退溪의 四端七情說에 동의하였는가 - 주자어류의 四端是理之發 七情是氣之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Did Gobong Agree with Toegye's Doctrine of Four Bases and Seven Feelings - Focused upon Four Foundation as the Arousing of Principle and Seven Feelings as the Arousing of Vital Force in Zhuziyulei -

유교사상문화연구 | | 42 | 2010 | 유교학

退溪 四七論에서 四端의 純善함에 대하여

A Study on Pure good of Four Beginning in Toegye’s Four Seven Debate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