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성리학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73

STNet ID : 1000824

한자 : 朝鮮性理學
영어 : Neo-Confucianism of Joseon Era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유가 철학 [ 韓國儒家哲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기론 [ 主氣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퇴계학 () [ 退溪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리론 [ 主理論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물성동이론 [ 人物性同異論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기호학파 () [ 畿湖學派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북학 사상 [ 北學思想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 전기 이기론 [ 朝鮮前期理氣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발 [ 理發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다카하시 도오루 [ 高橋亨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기발 [ 氣發 ]

朝鮮前期 士族勢力의 形成과 變遷 - 沙溪 金長生 집안을 中心으로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a noble family'influence in at the earli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centering around the Gwangsan(光山) Kim families'example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중종-선조대 문묘종사논의의 교육학적 해석

An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Debates Surrounding Enshrinement of Confucian Scholars in the Munmyo(文廟)

도덕교육연구 | 22 | 2 | 2011 | 교육학

朝鮮前期 士族勢力의 形成과 變遷 - 沙溪 金長生 집안을 中心으로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a noble family'influence in at the earli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 centering around the Gwangsan(光山) Kim families'example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맹자 四端說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해석 ―퇴계, 율곡과 다산을 중심으로

朝鲜儒者对孟子“四端说”的解释-以退溪、栗谷与茶山为中心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맹자 四端說에 대한 조선 유학자들의 해석 ―퇴계, 율곡과 다산을 중심으로

朝鲜儒者对孟子“四端说”的解释-以退溪、栗谷与茶山为中心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임진왜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A policy that advocate faithful subjects of the Imjin war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조선 임진왜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A policy that advocate faithful subjects of the Imjin war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도쿠가와(德川) 막부시기, 일본의 조선성리학 수용과 그 의의에 대한 일 시각

The Period of Dokugawa Bakufu: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Neo-Confucianism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조선 임진왜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A policy that advocate faithful subjects of the Imjin war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조선 임진왜란 충신 열사에 대한 현창정책

A policy that advocate faithful subjects of the Imjin war a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栗谷 李珥(1536∼1584)의 生涯와 思想

Yulgok's lifetime and idea

한국학논총 | 38 | 2012 | 역사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