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성동이론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23

STNet ID : 1000030

한자 : 人物性同異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기(氣) () [ 氣 ]

S:동의

UF (비우선어)

 

 

인물성상이론

UF (비우선어)

 

 

인물성동이논쟁 [ 人物性同異論爭 ]

UF (비우선어)

 

 

호락논쟁 [ 湖洛論爭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성리학 () [ 朝鮮性理學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인물성동론 () [ 人物性同論 ]

hasComponent (구성요소)

 

 

인물성 이론 [ 人物性異論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외암 유고 [ 巍巖遺稿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통기국 [ 理通氣局 ]

유교의 화합과 회통사상 - 율곡학파의 이일분수설을 중심으로 -

The Thought of Unification and Penetration in Confucianism - Focused upon Yul-gok School's Doctrine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estations -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유교의 화합과 회통사상 - 율곡학파의 이일분수설을 중심으로 -

The Thought of Unification and Penetration in Confucianism - Focused upon Yul-gok School's Doctrine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estations -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39 | 2010 | 유교학

萬物一體論과 人物性同異論을 통해 본 明 儒學과 朝鮮 儒學의 비교

A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ing and Chosun Confucianism : Focusing on Theory of ‘All creation is one body’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Thing's Nature

유교사상문화연구 | | 39 | 2010 | 유교학

인물성동이론에 대한 기독교신학적 성찰

A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Debate over the Similarity or Differences between the Morality of Humans and Animals” (inmulseong dongi ron 人物性同異論).

장신논단 | 44 | 1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조선조 주자학의 인물성동이론의 종교적 의미 탐구

The Study on the In-mul-seong-dong-i-ron of Zhu Xi’s Thought in Josun Dynasty from Religious Aspect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洛學의 종장으로서 농암 김창협의 人物性同論 재검토

对朝鲜洛学宗师金昌协人物性同论的再探讨

동양철학연구 | 71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