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흡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601

STNet ID : 1000212

한자 : 金昌翕
영어 : Kim chang-heup
호(號) : 삼연(三淵)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후기 (朝鮮後期)

출생지

서울

저작

삼연집 (三淵集)

생몰년_t

1653 - 1722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자익 [ 子益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옥 [ 南玉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사명 [ 李師命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RT (관련어)

아들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수항 () [ 金壽恒 ]

정선(鄭敾)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 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의 형성

True-View of Mount Geumgang: Jeong Seon’s (1676-1759) Album of Mount Geumgang in the Autumn of the Year of Sinmyo (1711) and the Formation of his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

미술사와 시각문화 | 11 | 2012 | 미술

竟陵派에 대한 조선후기 비평 양상

Aspects of Criticism about Jingling Coterie(竟陵派) from Late Jo-sun Era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孺人金氏 祭文硏究

A Study on the Funeral Oration for Mrs. Kim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洛誦樓詩社의 활동과 詩社의 의의

Activities of Naksongnu Poetry Society and Significance of Poetry Society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洛誦樓詩社의 활동과 詩社의 의의

Activities of Naksongnu Poetry Society and Significance of Poetry Society

漢文學報 | 25 | 2011 | 한문학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17~18세기 기유문예의 두 양상-농연그룹의 문예활동을 중심으로-

Two Aspects of Giyou Arts in 17~18th Centu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한시에 나타난 설악산의 심상(心象) -삼연 김창흡과 그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etic Images of Seol-Ak Mountain Expressed in 18th Century Chinese Poetry-Focused on Chang-Heup Kim and coworkers-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