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옥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1102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국문학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012

STNet ID : 9001119

한자 : 南玉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시온 [ 時韞 ]

UF (비우선어)

 

추월 [ 秋月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육유 [ 陸游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창흡 () [ 金昌翕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정보 [ 李鼎輔 ]

갑신사행시 필담창수집과 『일관창수』의 誤記 문제

關于甲申使行時‘筆談唱酬集’與『日觀唱酬』中的誤記問題

열상고전연구 | 34 | 2011 | 기타국문학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Chooweol Namok(秋月 南玉)'s consciousness of Japan reviewed by 『Ilkwansicho(日觀詩草)』

고전과 해석 | 8 | 2010 | 국문학사

『日觀詩草』를 통해 본 秋月 南玉의 日本 認識

Chooweol Namok(秋月 南玉)'s consciousness of Japan reviewed by 『Ilkwansicho(日觀詩草)』

고전과 해석 | 8 | | 2010 | 국문학사

『問(木+差)餘響』과 『日觀唱酬』 所載 南玉의 酬應詩 比較 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Nam-Ok’s Reply Poems Recorded in Munsayeohyang (問(木+差)餘響) and Ilgwanchangsu (日觀唱酬)

동방학지 | 153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