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광조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6

STNet ID : 9002360

한자 : 趙光祖
시호(諡號) : 문정(文正)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자

 

효직 [ 孝直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사림파 문인 [ 士林派文人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4-07 성씨 성씨

한양 조씨 () [ 漢陽趙氏 ]

R1:개념적

affects (영향)

문하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문건 (1494-1567) [ 李文楗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길재 [ 吉再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굉필 () [ 金宏弼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도봉서원 () [ 道峯書院 ]

RT (관련어)

관련제도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현량과 [ 賢良科 ]

RT (관련어)

지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인종 (조선) [ 仁宗 ]

조선전기 사림파 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rim Party's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Chŏsu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Political Akrasia and Grief of Confucian Dynasty During the Gimyosahwa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Political Akrasia and Grief of Confucian Dynasty During the Gimyosahwa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여말선초 영남사림의 ‘도통’과 ‘학통’

The Scholastic Lineage of Dotong and Haktong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Joseon Dynasty

한국학논집 | 45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Sosoewon’ in Korea and the Aesthetic of Nature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

학맥의 관점에서 본 휴암 백인걸

論學脈觀點上之休庵白仁杰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趙光祖의 社會改革에 관한 一考察

A Study on Cho KwangJo's Political Activities and Social Reforms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조광조 도학의 이념적 순정성과 감성의 문제

Cho Gwang-jo's Pure Conscience and Grief

한국철학논집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조광조 도학의 이념적 순정성과 감성의 문제

Cho Gwang-jo's Pure Conscience and Grief

한국철학논집 | | 30 | 2010 | 한국철학일반

정암 조광조의 의리사상

A Study on the Righteousness thought of Cho Kwang-jo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