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건

연구분야 : B140000 사회과학 > 행정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37

STNet ID : 9005309

한자 : 李文楗
호(號) : 묵재(默齋)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직업

문신 (文臣)

생몰년_t

1494-1567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본명/자

 

자발 [ 子發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문하생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광조 () [ 趙光祖 ]

16세기 野祭의 실태와 그 의미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ield Shamanic Rituals(野祭) in the 16th century -With a focus on Mukjaeilgi(默齋日記)-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조선 중기의 流配刑과 流配 生活 - 16세기 괴산과 성주의 李文楗사례를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based on the case of Lee Mun-geon of Goesan and Seongju in 16th century -

역사와 실학 | 44 | 2011 | 기타역사일반

16세기 星州 지역 妓生과 樂工의 존재 양상–『墨齋日記』를 중심으로

Gisaeng; Korean geisha and court musicians of Seongju area in the 16C - focused on 『Mukjaeilgi』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묵재일기> 속의 여비(女婢)

Woman slaves in Mukjae's diar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묵재일기> 속의 여비(女婢)

Woman slaves in Mukjae's diary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묵재默齋 『양아록養兒錄』의 교육학적 이해

Understanding Meaning of Education in Yangalok(養兒錄) of Lee Moon-Kun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