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학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573

한자 : 退溪學
영어 : Toegye Studies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유가 철학 [ 韓國儒家哲學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선성리학 () [ 朝鮮性理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단칠정 () [ 四端七情 ]

hasIssue (이슈/주제)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발 [ 理發 ]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호발설 [ 理氣互發說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일원소장도 [ 一元消長圖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사칠논변 () [ 四七論辨 ]

성주지역 道學의 착근과 江岸學派의 성장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Moral Philosophy(道學) and the Formation of Gangan School(江岸學派) in the Seongju Area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The Academic Root and Tradition of Woogye School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논쟁 전․후기 退溪 四七論의 변이 양상과 退溪學派 四七論의 전개

A aspect of change of Toegye’s thought of Four Clues and Seven Emotion of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of Debate and development in it of Toegye School

퇴계학논집 | 8 | 2011 | 철학

素窩 許巑의 학문과 문학

The Study and Literature of Sowa Heo Chan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조선 중기 낙중학과 정구의 ‘한강학

A Study on Nakjunghak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Jeong Gu’s Hanganghak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와 장지연의 한국유학사관

A Study on Takahasi Toru and Jang Ji Youn's Viewpoint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영남학파의 소학 중시가 가진 철학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Yeongnam School’s esteeming Sohak involve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星湖 李瀷의 窮理涵養功夫와 退溪學

Seongho Yi Ik(星湖 李瀷)'s Theory of Self- Cultivation(功夫論) of 'Investigation of Principle(窮理)' with 'Mind-Cultivation(涵養)' and T’oegyehak(退溪學)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퇴계학파의 율곡 성리설 비판과 전망 - 우담 정시한의 율곡 성리설 비판 -

Criticism and Its Prospect of Toegye school's Yulgok Songrisol - Critique of Woodam Jeong, Shi-han's Yulgok Songrisol -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퇴계학파의 율곡 성리설 비판과 전망 - 우담 정시한의 율곡 성리설 비판 -

Criticism and Its Prospect of Toegye school's Yulgok Songrisol - Critique of Woodam Jeong, Shi-han's Yulgok Songrisol -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16 | 2010 | 기타인문학

退溪學を形成するもの(Ⅱ) — <心經附註>の史的地位—

퇴계학을 형성하는 것(Ⅱ)— <심경부주>의 사적지위 —

퇴계학논총 | | 16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