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양론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A030103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 윤리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840

STNet ID : 1000514

한자 : 修養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교 이론 [ 儒敎理論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경 사상 () [ 敬思想 ]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심성 [ 心性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심성론 [ 心性論 ]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미발 [ 未發 ]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59 | 2010 | 기타인문학

『朱子語類』 <독서법>에 나타난 新意論

The Shin-ui Theory(新意論) in Reading Method of Juja-eolyu (朱子語類) and Its Significance in a Reading Theory History

인문연구 | | 59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행위의 動機化와 修養論의 문제― 의무와 덕이 상보하는 통합윤리의 모색 ―

Motivation and Cultivation in Morality

철학 | 102 | 2010 | 철학

도덕행위의 動機化와 修養論의 문제― 의무와 덕이 상보하는 통합윤리의 모색 ―

Motivation and Cultivation in Morality

철학 | | 102 | 2010 | 철학

퇴계와 율곡의 독서법 용어를 통한 고전독서이론의 모색

An Inquiry into the Classical Reading Theory through the Terms on Reading Method of Toegye and Yulgok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하서 김인후 시에 나타난 염락풍

Lianluo-poetic Style appeared in the Poetry of Haseo Kim Yin-hoo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외암(巍巖)의 미발설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巍巖的未发说及心性一致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외암(巍巖)의 미발설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巍巖的未发说及心性一致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명재 윤증의 유학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明斋尹拯的儒学思想及其现代意义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管子』 4篇에 나타나는 “心”槪念硏究

『管子』 4篇的 “心”槪念硏究

철학연구 | 123 | 2012 | 철학

육구연 내성외왕 수양론의 심학적 특징 연구

陆九渊內聖外王修養論之心學的特點硏究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수양론으로 본 한국 신종교의 구조적 특징 - 동학과 증산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tructural Character of the Korean New Religions from the Viewpoint of Self-cultivation : Focusing on Donghak and Jeungsan-gyo

동학학보 | 25 | 2012 | 역사학

氣:깨달음의 세계관

Qi(氣) : A view of the world

인문학연구 | 18 | 2010 | 기타인문학

氣:깨달음의 세계관

Qi(氣) : A view of the world

인문학연구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40 | 2010 | 철학

다산(茶山)의 미발설(未發說)과 신독(愼獨)의 수양론

茶山的未发说与其慎独为主的修养论

철학연구 | | 40 | 2010 | 철학

한국 근대 여행담론의 형성과 ‘수양론’의 실천적 논리 -『청춘』을 중심으로-

A Construction of Korea Modern Journey-Discourse and Logic of Self-Discipline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마음과 뇌 - 유교의 수양론과 인지과학 -

Mind and Brain: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Cognitive science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조선후기 미발논의의 전개양상과 수양론의 제반유형

朝鲜后期未发论的展开样态与修养论的诸多类型

철학연구 | 43 | 2011 | 철학

슈퍼리더십의 관점에서 바라본 최시형의 수양론

Die Suyang-Theorie von Si-Hyung Choi Hinsichtlich des Super-Leadership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도산십이곡>에 구현된 의미와 세계관

The Meaning and Perspective Represented in Dosan Sibigok

인문논총 | 26 | 2010 | 기타인문학

<도산십이곡>에 구현된 의미와 세계관

The Meaning and Perspective Represented in Dosan Sibigok

인문논총 | 26 |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