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론

연구분야 : A030301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24

한자 : 心性論
영어 : doctrine of mind and natur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기심성론 [ 理氣心性論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즉리 [ 性卽理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성론 [ 人性論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수양론 [ 修養論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설리시 [ 說理詩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기질지성 [ 氣質之性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본연지성 [ 本然之性 ]

제4장 왕양명의 良知와 致良知에 의한 도덕과 통일교육 방안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moral education subject by Wang Yang Ming's Yang Zhi(良知) and Chi Yang Zhi(致良知)

통일전략 | 11 | 2 | 2011 | 북한정치/통일

河上公의 氣와 王弼의 道 - 『노자』에 대한 하상공과 왕필의 주석 비교 (1) -

Tao and Ch’i in the Lao-tzu ―A Comparing Ho-shang kung with Wang Pi in Their Commentaries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동서양의 감정이해 − 플라톤과 율곡을 중심으로 −

Die Auffassung der Emotion im Abendland und Ostasien - Mit Schwerpunkt auf Platon und Yulg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禪佛敎의 心性 이해와 마음공부론 -득통 기화의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ory of mind and mind practice in Korean Zen Buddhism -Focused on the thought of Deuktong-Gihwa around the idea of combination of three religions-

교육학연구 | 50 | 2 | 2012 | 교육학

명재 윤증의 유학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明斋尹拯的儒学思想及其现代意义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퇴계의 심성론을 통한 한국적 여성주체 형성 이론의 가능성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Korean Feminist Subjects through Toegey's mind theory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20 | 2012 | 유교학

茶山의 孟子 心性論 해석에 대한 일고찰

Dasan's interpretation of Mencius’s theory of Mind-Heart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41 | 2010 | 유교학

丁若鏞의 性善論 分析

An Analysis on the Jeong Yag-Yong's Theory of Human Nature's Good

유교사상문화연구 | | 41 | 2010 | 유교학

우언과 성리학 -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

Allegory and Neo-Confucianism -History of the Allegorial Literature as a philosopical discourse in former peoriod of Choson Dynasty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우언과 성리학 - 조선전기 철학담론으로서의 우언문학사 -

Allegory and Neo-Confucianism -History of the Allegorial Literature as a philosopical discourse in former peoriod of Choson Dynasty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栗谷对朱子学心性论的继承和发展

유교사상문화연구 | 46 | 2011 | 유교학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유가의 태극논변과 운봉 대지(雲峰 大智) 선사의 다성론(多性論)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Realized Person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e Nature of the Mind within the Buddhist Community of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Argument Concerning Taekeuk(太極) of Confucianism and Woonbong’s “Daseongnon(多性論)”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