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관묘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377

STNet ID : 1003893

한자 : 石棺墓
동의어(UF) : 석상분(石箱墳)
동의어(UF) : 돌널무덤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주구석관묘 [ 周溝石棺墓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옹관묘 () [ 甕棺墓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하가점상층문화 [ 夏家店上層文化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비파형동검 () [ 琵琶形銅劍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토광묘 () [ 土壙墓 ]

RT_X (관련어►)

관련 문화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송국리문화 () [ 松菊里文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송국리 석관묘 () [ 松菊里石棺墓 ]

홍준어장고분군의 사회적 지위 및 성격-고분의 유형과 분포상황을 중심으로-

Social Position and Character of“ The Hongjuneujang Graveyard Site” -Focused on Type and Distribution of Tombs-

고구려발해연구 | 42 | 2012 | 한국고대사

墳墓 築造 社會의 開始

The Beginning of Grave Construction Society

한국고고학보 | 80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