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형동검

연구분야 : A020602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 한국선사고고학

클래스 : 도구/수단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754

STNet ID : 1000440

한자 : 琵琶形銅劍
중국어 : 曲刃青铜短剑
동의어(UF) : 곡인청동단검(曲刃靑銅短劍)
영어 :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동의어(UF) : 요령식 동검(遼寧式銅劍)
동의어(UF) : 만주식동검
동의어(UF) : 부여식동검

a04-06 도구/수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청동기 시대 () [ 靑銅器時代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비파형동검 문화 () [ 琵琶形銅剣文化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주구석관묘 [ 周溝石棺墓 ]

RT (관련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석관묘 () [ 石棺墓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미송리형 토기 () [ 美松里型土器 ]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 청동기시대의 형성과 전개

Reexamination of bronze Age in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Coarse plain pottery cultural area in North-eastern Asia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韓國 靑銅器時代 前期 墓制의 樣相

A Study on the Bronze Early Age Tombs in the Korea

문화사학 | 35 | 2011 | 문화사(역사학)

遼東과 韓半島 靑銅器文化의 變遷과 相互交流

The Interaction of Bronze Culture between The Liaoning Region and Korea Pennisula

한국고대사연구 | 63 | 2011 | 한국고대사

遼東地方의 ‘大石蓋墓’에 대한 검토

A Study of the Stone-Covered Tombs in Liaodong Province

단군학연구 | 24 | 24 | 2011 | 기타역사학

고조선 국가의 요동・요서 지역으로의 발전

The Transfer of Development of the Go-Joseon State to the Liaodong and Liaoxi Region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청동기시대 청동제품의 생산전문화 양상에 대한 일 고찰 –남한 출토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표준화 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nature of production specialization of Bronze products in the Korean Bronze Age

한국상고사학보 | 75 | 75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