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제두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63

STNet ID : 1000808

한자 : 鄭齊斗
시호(諡號) : 문강(文康)
호(號) : 하곡(霞谷)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앙 [ 士仰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유학자 [ 儒學者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긍익 [ 李肯翊 ]

맹자철학에 대한 해석과 조선유학의 전개 -‘心性論’을 중심으로-

The Interpretation of Mencius’s Philosophy and Development of Joseon Confucianism

동아인문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19 | 2010 | 역사학

비교사상사의 관점에서 18세기 동아시아 유학자들의 사상세계를 논함

從比較思想史觀點論十八世紀東亞儒者的思想世界

한국실학연구 | | 19 | 2010 | 역사학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Korean Confucianism(Ⅱ) - Laying Stress on the Scholars acknowledging the Structure of Gobondaehak -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明齋 尹拯과 霞谷 鄭齊斗의 交遊

The association between Yun jeng and Jung je du

시대와 철학 | 21 | 1 | 2010 | 철학

하곡학의 생태철학적 가능성

The Potential of Ha-gok Studies in the Ecological Philosophy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27 | 2010 | 철학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정제두 철학의 새로운 해석 - 시대적 배경ㆍ선대 철학자 비판ㆍ생리설을 중심으로 -

Die neue Interpretation in der Philosophie der Jeongjedu

동양철학 | 36 | 2011 | 철학

정정제두와 정약용 『맹자』 주석의 인간학적 이해

The Understanding of the Jeong Jae-du and Jeong Yak-yong'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Basing on the Humanics

유교사상문화연구 | 45 | 2011 | 유교학

하곡 사유에서 주체의 의미와 근대성

The Meaning of Subject and Modernity in Hagok’s Thought

양명학 | 25 | 2010 | 철학

하곡 사유에서 주체의 의미와 근대성

The Meaning of Subject and Modernity in Hagok’s Thought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25 | 2010 | 철학

조선 중후기 유학의 가족 인식 - 霞谷 철학의 양명학적 특성과 가족 감정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f “Family” in Confucianism from Middle to the End of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family emotion portrayed in Ha-gok’s Philosophy -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하곡 정제두의 맹자학 연구 : 「맹자설」, 「고자잡해」, 「제장잡해」, 「천하지언성장해」를 중심으로

Hagok Jeong Jaedoo’s Studied on Mencius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하곡 정제두의 맹자학 연구 : 「맹자설」, 「고자잡해」, 「제장잡해」, 「천하지언성장해」를 중심으로

Hagok Jeong Jaedoo’s Studied on Mencius

한국학 | 33 | 2 | 2010 | 기타인문학

정제두의 심학적 응물론- 「정성서해(定性書解)」를 중심으로-

“Response to Things Theory"(Yingwulun) of Mind-Learning in the Philosophy of Cheng, Jae-Do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9 | 2011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