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개혁

연구분야 : B141007 사회과학 > 행정학 > 분야별행정 > 교육행정

클래스 : 교육활동
개혁(개편/재편/혁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110

STNet ID : 1004456

한자 : 學校改革
영어 : School Reform

b01-02 교육활동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학교 문화 [ 學校文化 ]

isAffectedBy (영향요인)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우수 학교장 () [ 優秀學校長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교사 리더십 [teacher leadership]

RT_Y (◄관련어)

유사 개념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학교 변화 () [ 學校變化 ]

경기 혁신학교 운영 사례 분석 - 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anagement Case of Gyeong-gi Innovation School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1 | 1 | 2011 | 교과교육학

교육복지 실천을 위한 포괄적 접근방식 - 미국의 학교개혁 사례(KIPP)와 비교해 본 포괄적 접근 사례(HCZ)의 의의와 원리 -

The comprehensive approach for education welfare practice - ‘The Harlem Children’s Zone(HCZ)’ as the case of comprehensive approach compared with the ‘KIPP charter school’ as the case of school reform focused approach -

평생교육학연구 | 18 | 2 | 2012 | 교육학

학교 내 교사 협력이 교사의 학교 개혁 실천에 미치는 영향 탐색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ool-based Teacher Collaboration on Teachers’ Practice in Implementing School Reform

교육행정학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교사 리더십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가능성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ossibilities and Potentials for Implementing Teacher Leadership by Teacher's Perceptions

한국교육학연구 | 17 | 3 | 2011 | 교육학

교사 리더십에 관한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leadership in a secondary school

교육과학연구 | 42 | 1 | 2011 | 교육학

‘새로운 미국 학교(NAS)’ 학교개혁 추진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An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chool Reform by New American Schools in U.S.

비교교육연구 | 20 | 2 | 2010 | 교육학

‘새로운 미국 학교(NAS)’ 학교개혁 추진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An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chool Reform by New American Schools in U.S.

비교교육연구 | 20 | 2 | 2010 | 교육학

교원의 학교개혁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Teaching staff's participate in the School change

교육행정학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교사공동체가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한국교원교육연구 | 28 | 4 | 2011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