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문화

연구분야 : B1208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사회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3032

STNet ID : 1002266

한자 : 學校文化
영어 : schoolculture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반학교 문화 [ 反學敎文化 ]

N1:종류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수업 문화 () [ 授業文化 ]

hasKind (종류)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학교 조직 문화 () [ 學校組織文化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집단 따돌림 [ 集團-- ]

isAffectedBy (영향요인)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학교 개혁 [ 學校改革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교육 문화 [ 敎育文化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학교 자치 [ 學校自治 ]

RT (관련어)

 

a01-04-06 공동체 공동체

학교 공동체 [ 學校共同體 ]

근대 초기 학교와 조선인의 지적 욕망: 이광수의 1910년대 문학을 중심으로

Intellectual Appetite and the School in Modern Joseon-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of Lee Gwangsu in Nineteen Tenth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 초기 학교와 조선인의 지적 욕망: 이광수의 1910년대 문학을 중심으로

Intellectual Appetite and the School in Modern Joseon-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of Lee Gwangsu in Nineteen Tenths-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문화와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rinciple's Leadership o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Social Workers an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Culture and Needs to School Social Work Services of Teachers

사회과학연구 | 27 | 1 | 2011 | 기타사회과학

A초등학교는 왜 변하지 않을까?

Why are there no changes in Elementary A?

교육행정학연구 | 29 | 3 | 2011 | 교육학

한국 교사의 수업 문화 탐색 : 요인분석의 적용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structional Culture of Korean Teachers

열린교육연구 | 18 | 2 | 2010 | 교육학

한국 교사의 수업 문화 탐색 : 요인분석의 적용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structional Culture of Korean Teachers

열린교육연구 | 18 | 2 | 2010 | 교육학

교사 리더십에 관한 중등교사의 인식 분석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leadership in a secondary school

교육과학연구 | 42 | 1 | 2011 | 교육학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 o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통합학급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학교문화, 학교 재구조화, 통합교육 효과의 인과관계분석

Th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 on School Principal's Leadership, School Culture, School Restructuring, and Inclusive Education Effectiveness

특수아동교육연구 | 12 | 2 | 2010 | 교육학

학교헌장과 학교문화의 변화과정에 대한 통합적 접근

The School Charter and Process of Changing School Culture Case Study: Lincoln Christian High School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Practices in Korean Waldorf School

교육철학연구 | 48 | 2010 | 교육학

한국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Practices in Korean Waldorf School

교육철학연구 | | 48 | 2010 | 교육학

이태준 소설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학교

The Schools of Joseon Colony Represented in the Fictions of Lee Teajun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 소설에 재현된 식민지 조선의 학교

The Schools of Joseon Colony Represented in the Fictions of Lee Teajun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