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능력시험

연구분야 :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819

STNet ID : 1004961

한자 : 韓國語能力試驗
영어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약어 :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d02-01 사회제도

대상2

외국인 (外國人)

교포 (僑胞)

목적_t

재외동포 ·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 방향 제시 및 한국어 보급 확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쓰기 평가 () [ --評價 ]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말하기 평가 () [ --評價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차등 배점 [ 差等 配點 ]

isMeasurementOf (측정 방법/수단)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국어 학습 [ 韓國語學習 ]

니시다와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

Der Wahrheitsbegriff bei K. Nishida und M. Heidegger

현상학과 현대철학 | 48 | 2011 | 철학

중국의 한국어 고급 교재 분석

A study on KFL textbooks for the advanced learners in China

한중인문학연구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어 교육의 실상과 방향 - 목록 선정과 단계별 배치를 중심으로

The reality of idioms education in China targeted on Korean learners and a proposed direction for future idiom education - centered arou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arrangement of levels

한국어교육 | 21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즈베키스탄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 및 특징

Квалификационный экзамен по корейскому языку(TOPIK) в Республике Узбекистане Обзор (состояния и особенности)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재와 TOPIK에 나타난 의사소통전략 유형과 분포

Communication strategies in Korean textbooks and TOPIK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해 영역을 중심으로-

Study on Assessing Inferencing Skills for Reading‧Listening in TOPIK.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교재와 TOPIK에 나타난 의사소통전략 유형과 분포

Communication strategies in Korean textbooks and TOPIK

한국어 의미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매체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신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Korean Body-Related Idioms by Using Mass Media Material

한국언어문화학 | 7 | 2 | 2010 | 한국어교육학

몽골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그 발전방향 제언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 and proposal of enhancement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제고를 위한 연구 -가천대학교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Concerned wi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nhancement of Foreign Student's -focused on korean education of Gachon University-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제고를 위한 연구 -가천대학교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Concerned wit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nhancement of Foreign Student's -focused on korean education of Gachon University-

한말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부정 및 양화사의 초점화 문제

Die Internverhältnisse von Fokus, Negation und Quantor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 28 | 2011 | 독일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Textbook Analysis on a Valuation Basis of TOPIK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근대 초기 인문주의 법학시대의 법학방법론 -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 방법론 연구(6) -

Die juristische Methodenlehre der humanistischen Jurisprudenz in der frühen Neuzeit

저스티스 | 115 | 2010 | 기타법학

근대 초기 인문주의 법학시대의 법학방법론 -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 방법론 연구(6) -

Die juristische Methodenlehre der humanistischen Jurisprudenz in der frühen Neuzeit

저스티스 | | 115 | 2010 | 기타법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Textbook Analysis on a Valuation Basis of TOPIK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경희대․고려대․연세대 초급1 교재 및 물건사기 단원을 바탕으로-

Textbook Analysis on a Valuation Basis of TOPIK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분석 연구- 제21회 중급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items in TOPIK- On the focus of items in the intermediate level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 -제20회∼제22회 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ea of reading in TOPIK - On the focus of advanced level beteen the 20 and the 22 -

교육종합연구 | 9 | 2 | 2011 | 교육학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 -제20회∼제22회 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ea of reading in TOPIK - On the focus of advanced level beteen the 20 and the 22 -

교육종합연구 | 9 | 2 | 2011 | 교육학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분석 연구- 제21회 중급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items in TOPIK- On the focus of items in the intermediate level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문법’ 영역에 대한 논의

Analysis about TOPIK's 'Vocabulary/Grammar' Section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critical study on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in reading domain of TOPIK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중심으로-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Vocabulary Assessment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한국어능력시험(TOPIK) ‘어휘문법’ 영역에 대한 논의

Analysis about TOPIK's 'Vocabulary/Grammar' Section

문법 교육 | 15 | 2011 | 국어교육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평가 틀에 대한 비판적 검토

The critical study on the criterion of the evaluation in reading domain of TOPIK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에 대한 연구 -제20회∼제22회 고급 수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rea of reading in TOPIK - On the focus of advanced level beteen the 20 and the 22 -

교육종합연구 | 9 | 2 | 2011 | 교육학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분석 연구- 제21회 중급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items in TOPIK- On the focus of items in the intermediate level -

한어문교육 | 25 | 2011 | 국어교육

시행 결과를 통해 본 한국어능력시험의발전 양상 연구

Research on the Progress of the TOPIK through Analysis of Test Results

이중언어학 | 46 | 2011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