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하도급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079

STNet ID : 1005112

한자 : 社內下都給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사내 하청 () [ 社內下請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c03-02 격차/차이 격차/차이

차별 () [ 差別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불법파견 [ 不法派遣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위장 도급 [ 僞裝都給 ]

다면적 근로관계에서 사용자 책임의 확대: 노조법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Employers’ Liability in Triangular Employment Relationships

민주법학 | 44 | 2010 | 법학

다면적 근로관계에서 사용자 책임의 확대: 노조법의 ‘사용자’를 중심으로

Employers’ Liability in Triangular Employment Relationships

민주법학 | | 44 | 2010 | 법학

공동주택의 위탁관리 시 실질적 사용자의 판단:부당해고의 구제를 중심으로

Determination of the real Employer in the Management Service Agencies of the Apartment

노동정책연구 | 11 | 3 | 2011 | 사회과학일반

원․하청 관계와 사업주의 산업안전보건 책임 ― 영국의 입법 현황 및 판례 분석과 시사점 ―

The Health and Safety Responsibilities of Clients and Contractors - The UK's Model and Its Suggestions -

노동법논총 | 23 | 2011 | 노동법

사내하도급 관계에서 근로자파견의 인정 기준

The criteria of work dispatch in on-site subcontracting relationship

법조 | 60 | 8 | 2011 | 법학

한국의 비정규고용의 실태와 법률적 쟁점 -비정규고용의 현황, 대응과정 및 향후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and key issues regarding temporary workers in Korea: Actual conditions, countermeasures, further improvement plans

외법논집 | 35 | 4 | 2011 | 법학

사내하도급과 근로관계

In-house Subcontract and Employment Relationship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사내하도급의 활용 원인과 고용 성과

Determinants and Employment Effect of In-house Subcontracting

산업노동연구 | 18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사내하도급 활용 실태와 경제적 효과

Impacts of In-house Subcontract on Economic Performance in Korean Large Firms

산업관계연구 | 21 | 2 | 2011 | 경영학

한국의 사내하도급: 원인과 대책

In-house Contracting in Korea: Cause and Measures

한국사회정책 | 18 | 3 | 2011 | 의료/복지/사회정책

사내하도급근로자의 임금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 가능성 연구

The Study on the Regulation Possibilities on the Wage Discrimination against the Infra-Subcontract Workers

노동법논총 | 22 | 2011 | 노동법

사내하도급과 근로계약관계 - 현대자동차 판결의 검토를 중심으로 -

On-site Subcontracting and Employment Contract Relation: the legal meanings of Hyundai Motor Case

사법 | 1 | 15 | 2011 | 법정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