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B081700 사회과학 > 사회학 > 교육/지식사회학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382

STNet ID : 9007876

한자 : 知識
영어 : knowledge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지리 지식 () [ 地理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환경 지식 () [ 環境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메타 지식 [ --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역사 지식 [ 歷史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방법적 지식 [ 方法的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언어 지식 [ 言語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금융 지식 [ 金融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수업 지식 [ 受業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경제 지식 [ 經濟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암묵적 지식 [ 暗默的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문법 지식 [ 文法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정치 지식 [ 政治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개인적 지식 [ 個人的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형식적 지식 () [ 形式的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비형식적 지식 () [ 非形式的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배경 지식 () [ 背景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과학 지식 [ 科學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총체적 지식 () [ 總體的知識 ]

hasKind (종류)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명제적 지식 () [ 命題的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자모 지식 () [ 字母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정책 지식 () [ 政策知識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법 지식 [ 法知識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객관적 지식 () [ 客觀的知識 ]

hasComponent (구성요소)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주관적 지식 () [ 主觀的知識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창조 산업 () [ 創造産業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지식 공유 () [ 知識共有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지식 생산 [ 知識生産 ]

RT (관련어)

 

 

지식 활용 [ 知識活用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지식 자산 [ 知識資産 ]

RT (관련어)

 

x03-05-02 결과 결과

지식 표상 [ 知識表象 ]

RT (관련어)

 

 

지식 평가 [ 知識評價 ]

RT (관련어)

 

 

지식 확산 [ 知識擴散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지식 행정 [ 知識行政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지식 표현 [ 知識表現 ]

RT (관련어)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지식 통합 [ 知識統合 ]

RT (관련어)

관련 개념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베이컨의 우상 [ --偶像 ]

RT_Y (◄관련어)

감정 대상

c02-01 감정 감정

지식욕 [ 知識慾 ]

RT_Y (◄관련어)

유사 개념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인식 () [ 認識 ]

한국 근대 여행담론의 형성과 ‘수양론’의 실천적 논리 -『청춘』을 중심으로-

A Construction of Korea Modern Journey-Discourse and Logic of Self-Discipline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자연 체험과 교양 담론

Modern Experience of Nature and Culture Discourse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 접근의 한 방향-

Une étude Approfondie sur la Relation entre les Humanités, la Culture et la Nouvelle Discipline de ‘Cultural Content’

인문콘텐츠 | 19 | 2010 | 기타인문학

창조적 문화와 문화콘텐츠의 창발을 위한 인문학적 기반 연구 -‘융합 학제적’ 접근의 한 방향-

Une étude Approfondie sur la Relation entre les Humanités, la Culture et la Nouvelle Discipline de ‘Cultural Content’

인문콘텐츠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문학 교육과정의 대안과 제언

A Alternatives and Suggestion to the Curriculum for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행문의 지정학적 성격과 문화민족주의 기획 -『개벽』을 중심으로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of Travel Essay in the 1920s and Planning of Cultural Nationalism - With Focus on 『Gaebyeok』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울·경기방언과 현대문학

Seoul・Gyeonggi Dialect and Modern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예술은 철학이 되었는가? 칸트와 단토를 중심으로

Ist die Kunst zur Philosophie geworden? - in Bezug auf Kants Ästhetik und Dantos Kunstphilosophie

칸트연구 | 29 | 2012 | 철학

≪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Reception Attitude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三國遺事)≫ and Modern Meanings

국어교육 | 1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혁신, 자율, 민주화… 그리고 경영 : 신자유주의 비판 기획으로서 푸코의 통치성 분석

Innovation, autonomy, and democratization…… and management : Foucault’s governmentality analysus as critical inquiry of neoliberalism

경제와 사회 | 89 | 2011 | 사회학

모국어 지배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학습 방법의 사례 연구 -태국 내 학습자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eaching-Lean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in the Environment under Dominant Influence of Mother Tongue-focused on Thailand

국어교육학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지식의 인간성, 학문의 사회성, 교육의 공공성- 지식과 학문과 교육의 통합체계로서의 사회인문학 -

Social Humanities as a Consilient System of Knowledge, (Human) Science, and Education: Interconnecting Publicness with Individuality, Societas and Humanus, Life and Knowledge

동방학지 | 156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 문화 교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que about the Korean Culture Subject Theory

청람어문교육 | 41 | 2010 | 국어교육

국어 문화 교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que about the Korean Culture Subject Theory

청람어문교육 | | 41 | 2010 | 국어교육

원자력 발전소와 방폐장 낙인의 심리적 모형: 신뢰와 감정, 지식을 중심으로

Psychological model of stigma on nuclear power plants and radioactive waste repositories: Focusing on trust, affect, and knowledge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30 | 3 | 2011 | 심리과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Perspectives of Seeing the Interactions among Space, People, and Society

공간, 사람,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점들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1 | 2010 | 지리학

열린 학습사회의 교육체제 재구조화와 방향성 고찰

A Theoretical Discourse on Re-structuralization and Direction of Education System in a Learning Society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4 | 2 | 2011 | 교육학

관광 연구의 정치화 - ‘녹색관광’의 의미 변환 -

Politicalization of Tourism Research: The Meaning Transformation of ‘Green Tourism’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관광 연구의 정치화 - ‘녹색관광’의 의미 변환 -

Politicalization of Tourism Research: The Meaning Transformation of ‘Green Tourism’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증언에 관한 리드의 비환원주의

T. Reid's Non-reductionism on Testimony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

차기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체계의 방향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the Writing Area Contents System of Nex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 43 | 2011 | 국어교육

문학교육을 위한 소설사 서술방법 및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and a Case of the Description of Novels-History for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교육을 위한 소설사 서술방법 및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and a Case of the Description of Novels-History for Literary Education

문학교육학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 과목의 구조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서’ 과목의 구조

Structures of 'Reading' course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문 독자’로서의 비평가 집단의 형성

Critics as ‘professional readers’ in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전문 독자’로서의 비평가 집단의 형성

Critics as ‘professional readers’ in 195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의 고현학(考現學)-‘문화사 연구’의 사회․문화적 조건과 이데올로기

The Modernology of the Desire-Sociocultural Conditions and Ideologies of Studies on Modern Korean Cultural History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의 고현학(考現學)-‘문화사 연구’의 사회․문화적 조건과 이데올로기

The Modernology of the Desire-Sociocultural Conditions and Ideologies of Studies on Modern Korean Cultural History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연의 다의적 인식: 「리어왕」의 폭풍우 장면

Layered Meanings of Nature: the Storm Scene in King Lear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20 | 2 | 2011 | 영어와문학

장르 중심 통합 단원의 학습활동 전개 양상과 개선 방안 - 8학년 자서전 읽기와 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phase and improvement methods of learning activity for genre based unit ― Focusing on unit of reading and writing autobiography ―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베단따의 ‘듣기·숙고하기·명상하기’(문·사·수)에 관하여

On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in Vedānta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베단따의 ‘듣기·숙고하기·명상하기’(문·사·수)에 관하여

On Listening, Reflection and Meditation in Vedānta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개발 원리 탐색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5 | 2012 | 국어교육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2011'th revision Curriculum of the Korean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제언어문학 | 24 | 2011 | 기타동양어문학

지식과 정당화의 원천으로서의 증언: 흄과 리드

Testimony as a Source of Knowledge and Justification: D. Hume and T. Reid

범한철학 | 64 | 1 | 2012 | 철학

근대초기 지식편제와 교양으로서의 소설 - 최남선과 <소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nowledge and Project of ‘Buildung’- focusing on Choi Nam-seon」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晝永編』의 자료 구성과 知識 세계

Juyoungpyeon(『晝永編』) and Its Aspects As Historical Materials

진단학보 | 110 | 2010 | 역사학

『晝永編』의 자료 구성과 知識 세계

Juyoungpyeon(『晝永編』) and Its Aspects As Historical Materials

진단학보 | | 110 | 2010 | 역사학

고린도전서 8:1-11:1의 ‘우상제물’ 문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과 전통적 해석 재고(再考)

Revisiting Paul's Viewpoint regarding “the Food Offered to Idols” in 1 Cor inthians 8:1-11:1

신약논단 | 17 | 3 | 2010 | 기독교신학

고린도전서 8:1-11:1의 ‘우상제물’ 문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과 전통적 해석 재고(再考)

Revisiting Paul's Viewpoint regarding “the Food Offered to Idols” in 1 Cor inthians 8:1-11:1

신약논단 | 17 | 3 | 2010 | 기독교신학

식민지 근대성의 사회심리학 : ‘이방인론’을 통해 본 식민지의 근대

Colonial Modernity in Social Psychology : Stranger's Recipe for Modernization in Colonial Korea

언론과 사회 | 20 | 3 | 2012 | 신문방송학

웹 2.0 시대 언론 전문직 요건에 대한 재고찰 : ‘전문성’과 ‘지식’에 대한 저널리스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Speciality and Knowledge in Journalism Revisited :Current Trends in Professional Journalism in the Age of Web 2.0

언론과학연구 | 12 | 2 | 2012 | 신문방송학

카와사키의 산업구조 전환과 지역산업정책

Transform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ocal Industrial Policy in Kawasaki

산업노동연구 | 18 | 1 | 2012 | 사회과학일반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들뢰즈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 이미지

Foucault’s Power Image in the Viewpoint of Deleuze

한국시민윤리학회보 | 23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소믈리에의 전문지식요인과 역할요인이 와인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Wine Purchase Satisfaction Through the Expertise Factors and Role of the Sommelier

호텔관광연구 | 14 | 1 | 2012 | 호텔/외식산업경영

지식의 융합과 마음의 문제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Problems of Mind

철학연구 | 113 | 2010 | 철학

지식의 융합과 마음의 문제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Problems of Mind

철학연구 | 113 | | 2010 | 철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63 | 2010 | 기타인문학

철학과 인문학, 개념적 상호작용의 역사 - 서양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소고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A History of their Conceptual Interaction

인문논총 | | 63 | 2010 | 기타인문학

Effectiveness of Older Adults Health Education Programs on Prospective Helping Professionals

미래 원조전문직의 노인 건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 31 | 2012 | 사회복지조사/분석

학습목표를 위한 보조 자료 활용 방안 - 한국 대학에서의 독일어 수업을 위해서 -

Enhancing goal-oriented language learning through culturally-sensitive supplementary materials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 의 위상에 관한 小論

A View about the Position of ‘Content Structure’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국어교육 | 1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능력 배양을 위한 제언

Proposals for developing Korean Written Language Ability

한어문교육 | 23 | 2010 | 국어교육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능력 배양을 위한 제언

Proposals for developing Korean Written Language Ability

한어문교육 | 23 |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Rewriting the School Grammar (3) - The Inquiry into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Rewriting the School Grammar (3) - The Inquiry into the Horizontal Structure of Reported Speech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지식의 질서와 네트워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문화적 유산

Die Ordnung der Wissen und Netzwerke -Die kulturellen Vermächtnisse der Alexandriaischen Bibliothek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지식의 질서와 네트워크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문화적 유산

Die Ordnung der Wissen und Netzwerke -Die kulturellen Vermächtnisse der Alexandriaischen Bibliothek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개인적 요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지식)이 차량 네비게이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s(innovativeness, self-efficacy, knowledge) on the use intention of vehicle navigation - A focus on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관광연구 | 26 | 5 | 2011 | 관광학일반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낭중지추(囊中之錐): 다양한 참여자와 지식을 연결하는 지식중개자

A Case Study of an Exemplary Public Official as a Knowledge Broker in Building e-Government

행정논총 | 49 | 4 | 2011 | 행정학

존 헨리 뉴만의「대학의 이념」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Newman's the Idea of University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Regional Innovation and Global Networks: Critical Review of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Ethnic Communities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지역 혁신과 글로벌 네트워크: 이론적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초국가적 민족 공동체의 역할

Regional Innovation and Global Networks: Critical Review of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 Role of Transnational Ethnic Communities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2 | 2010 | 지리학

청소년의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Youth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2 | 2010 | 교육학

청소년의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of Youth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22 | 2 | 2010 | 교육학

체육학의 인과적 지식 정당화 가능성

Possibility of justification in causal knowledge of physical education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2 | 2011 | 체육

Is Science Universal?

과학은 보편적인가?

근대 철학 | 6 | 2011 | 철학

디지털 복제 시대의 지식, 미디어, 정보 지식의 기술ㆍ사회적 조건 변화를 중심으로

Knowledge, Media and Information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 49 | 1 | 2010 | 신문방송학

디지털 복제 시대의 지식, 미디어, 정보 지식의 기술ㆍ사회적 조건 변화를 중심으로

Knowledge, Media and Information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한국언론정보학보 | 49 | 1 | 2010 | 신문방송학

과학기술 위험갈등의 근원 - 지식 혹은 감정?

Origines of Risk Conflicts on Science Technology: Knowledge or Feeling?

한국정책학회보 | 21 | 1 | 2012 | 정책학

Exploring Introduction Moves in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응용언어학 | 28 | 3 | 2012 | 언어학

회의주의 문제와 지식의 정당화 조건: 루이스의 이론과 새로운 이론

The Problem of Skepticism and the Condition of Epistemic Justification: Lewis’s Theory and a New Theory

철학연구 | 93 | 2011 | 철학

사회과 정의적 영역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 Critical Study of Affective Domain Education: Centered on an Analysis of 2007 Revision Curriculum

시민교육연구 | 43 | 4 | 2011 | 교육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19세기 소설의 ‘지식’ 구성의 한 양상과 ‘지식’의 성격 ― <두껍전>에 나타난 ‘지식’ 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One Aspect in ‘Knowledge’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 in ‘Knowledge’ of 19C Novel - Centering on Aspect of Enjoying ‘Knowledge’ Shown in -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도덕 인식론과 윤리적 회의주의

Moral Epistemology and Ethical Skepticism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메논」에 나타난 인식의 문제

The Problem of Knowledge in Meno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메논」에 나타난 인식의 문제

The Problem of Knowledge in Meno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노후불안과 고령화 사회에 대한 불안: 지식과 태도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nxiety toward Later Life and Aging Society: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s and Anxiety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40 | 2 | 2012 | 사회복지학

지식의 융합과 경계적 사유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지식의 융합과 경계적 사유

Convergence of Knowledge and Border Thinking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듀이의 실용주의적 지식 개념

Dewey’s Pragmatic Conception of Knowled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듀이의 실용주의적 지식 개념

Dewey’s Pragmatic Conception of Knowledg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ADHD에 대한 유아교사와 부모의 지식과 중재 수용도 비교

Comparison about ADHD Knowledge and Intervention Acceptanc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Parents of Infants with ADHD

학습장애연구 | 8 | 3 | 2011 | 교육학

상상력이 지식보다 중요하다: Einstein의 착각?

Imagin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Einstein's Mistake?

사고개발 | 7 | 1 | 2011 | 교육심리학

『타트바상그라하』<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 批判

The Criticism against the Three Kinds of Ākāra Theory in the Bahirarthaparīkṣā of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타트바상그라하』<外境考察의 章>에 나타나는 3종의 形象說 批判

The Criticism against the Three Kinds of Ākāra Theory in the Bahirarthaparīkṣā of Śāntarakṣita's Tattvasaṃgraha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우리나라 기업의 지식경영 성공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Local Businesses' Strategies Of Success In Knowledge Management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1 | 2010 | 경영학

우리나라 기업의 지식경영 성공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Local Businesses' Strategies Of Success In Knowledge Management

인적자원관리연구 | 17 | 1 | 2010 | 경영학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당화 방안에 대한 소고 -도덕교육에서의 ‘이해’의 성격을 중심으로-

A Little View about Justific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Focused on the Nature of Understanding-

초등도덕교육 | 33 | 2010 | 윤리교육학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정당화 방안에 대한 소고 -도덕교육에서의 ‘이해’의 성격을 중심으로-

A Little View about Justific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Focused on the Nature of Understanding-

초등도덕교육 | | 33 | 2010 | 윤리교육학

장자 : 지식과 놀이

知识与游

동양철학연구 | 64 | 2010 | 철학

장자 : 지식과 놀이

知识与游

동양철학연구 | | 64 | 2010 | 철학

지식생태계 연구 경향, 한계 그리고 제언

A Review of Studies on Knowledge Ecosystem

정보화정책 | 18 | 4 | 2011 | 사회과학

정부조직의 지식보호 - 민간기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Knowledge Protection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정보화정책 | 17 | 1 | 2010 | 사회과학

정부조직의 지식보호 - 민간기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Knowledge Protection i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정보화정책 | 17 | 1 | 2010 | 사회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