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궁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08

한자 : 慶熙宮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궁궐 (宮闕)

제작자

광해군 (光海君)

제작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지정호수_t

사적 제271호

지정일자_t

1980. 09. 16.

주소_t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제작(설립)년도_t

1623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LT (이후명)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Y04 기념물명(문화재) /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경희궁 [ 慶熙宮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황학정

hasComponent (구성요소)

 

 

흥화문 [ 興化門 ]

hasComponent (구성요소)

 

 

흥정당

hasComponent (구성요소)

 

 

회상전

hasComponent (구성요소)

 

 

숭정전 [ 崇政殿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궁궐지 [ 宮闕志 ]

조선 초기 개성의 경관 변화

The variation of Kyesung's view in early Chosun dynasty

조선시대사학보 | 62 | 2012 | 역사학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King Youngjo's Visit to Kaesŏng in 1740

조선시대사학보 | 52 | 2010 | 역사학

1740년 국왕 영조의 개성 행차

King Youngjo's Visit to Kaesŏng in 1740

조선시대사학보 | | 52 | 2010 | 역사학

仁祖代 ‘塞門洞王氣’說 생성의 정치사적 의미 - 慶德宮의 역사적 연원에 대한 고찰 -

The Emergence of a rumor regarding an Energy worthy of a King emanating from Saemun-dong (塞門洞王氣) during King Injo/仁祖’s reign, and its political meaning - Examination of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Gyeongdeok-gung/慶德宮 palace -

서울학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