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지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문서(보고서)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373

STNet ID : 9009463

한자 : 宮闕志

y02-06 문서(보고서)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덕궁 [ 慶熙宮 ]

hasIssue (이슈/주제)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창덕궁 () [ 昌德宮 ]

hasIssue (이슈/주제)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창경궁 () [ 昌慶宮 ]

hasIssue (이슈/주제)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복궁 () [ 景福宮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필원잡기 [ 筆苑雜記 ]

RT (관련어)

 

 

조야첨재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국조보감 [ 國朝寶鑑 ]

조선후기 동궐 궐내각사 배치 체제의 변동 -『 어제궁궐지』및『궁궐지』의분석을중심으로-

The change of placement system of Government Offices within East Pal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 analysis of『 King made Gunggueolji』and『 Gunggueolji』-

서울학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