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7

STNet ID : 2000228

한자 : 景福宮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궁전 (宮殿)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소장처(자)

대한민국 (大韓民國)

지정호수_t

사적 117호

지정일자_t

1963.01.21

주소_t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1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조선 궁궐 [ 朝鮮宮闕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랜드마크 [land mark]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향원정 [ 香遠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회루 [ 慶會樓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근정전 [ 勤政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영제교 [ 永齊橋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광화문 [ 光化門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임진왜란 () [ 壬辰倭亂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궁궐지 [ 宮闕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경복궁영건일기 () [ 景福宮營建日記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흥선대원군 () [ 興宣大院君 ]

RT (관련어)

 

y05-03 정책(제도)명 정책(제도)명

원납전 [ 願納錢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서촌 [ 西村 ]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Political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feng shui theory from the stage of Se-jong(世宗) to that of Dan-jong(端宗)-Through feng shui expert Mok-hyo-Ji(睦孝智)’s case-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프로이센 고전주의와 서울: 포스트식민주의 도시공간에 대한 탐구

Preußischer Klassizismus in Seoul. Eine Studie zu den postkolonialen Stadträumen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 22 | 2011 | 역사학

제국의 文化領有와 外地巡行 -天勝一座의 <살로메> 景福宮 공연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domination and oversea land tour performance of Japanese empire-performance in Kyngbokkung of Tenkachuichiza (天勝一座)-

일본근대학연구 | 33 | 2011 | 일본문화학

고궁방문객의 선택속성 분석 - 경복궁 방문객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Palace Visitors' Satisfaction for the Selective Attribute : The Case Study of Royal Palace

동북아관광연구 | 7 | 1 | 2011 | 기타관광학

역사문화도시와 경제중심도시 ; 두 마리 토끼는 잡지 못한다.

A Economic Central Cit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ities - He who catches two hares catches neither -

서울학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Applying Kyungbok Palace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경복궁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과 그 의미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ith Applying Kyungbok Palace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