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인·숙종기의 圖畵署와 畵員
The Academy of Painting and its Painters in the 17th Century Joseon
강좌미술사 |
34 |
2010 |
미술
桃灘 邊士貞論 -지리산 자락에서 꽃핀 劇的 人生 變奏-
Study on Dotan Byun Sajeong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朝鮮時代『行實圖』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
The Image of Japan in "Haengsildo" of the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37 |
2010 |
역사학
朝鮮時代『行實圖』에 나타난 日本의 表象
The Image of Japan in "Haengsildo" of the Joseon dynasty
한일관계사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28 |
2010 |
역사학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The Systems for Assistance for Accidents and Rescue of Drifters in Pre-modern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
28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망암 火車의 구조적 특성과 실효성
Mangam Hwach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ctual Effect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조선시대 수군 진형과 함재 무기 운용
The Battle Formation andNaval Weapons Employment of the Joseon Navy
군사 |
74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수군 진형과 함재 무기 운용
The Battle Formation andNaval Weapons Employment of the Joseon Navy
군사 |
|
74 |
2010 |
역사학
韩国人对中國客家名人陈璘的回忆機制: 神宗皇帝八赐品
A Reason for Korean Reminiscing about Hakkas General Chen-Lin of Ming-Dynasty : The Eight-Bestowed Things of the Emperor Shen-zong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문화학
韩国人对中國客家名人陈璘的回忆機制: 神宗皇帝八赐品
A Reason for Korean Reminiscing about Hakkas General Chen-Lin of Ming-Dynasty : The Eight-Bestowed Things of the Emperor Shen-zong
중국학논총 |
34 |
2011 |
중국문화학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선조 ․ 광해군시대 文人士大夫의 佛僧과의 시적 교유 - 李廷龜와 李安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oetic friendship between literary noblemen(文人士大夫) and buddhist(佛僧) in the era of Seon Jo(宣祖) and Kwang Hae Gun(光海君)
禪文化硏究 |
11 |
2011 |
기타불교학
金忠善에 대한 정밀 탐구 -관직으로 보는 沙也可의 위상-
Kim Chung-Sun(金忠善)'s Authority Analyzed with the Official Title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李文長과 그의 시대 -德川時代를 예견한 조선의 儒學者-
李文長とその時代 -徳川時代を予見した朝鮮の儒学者-
日本學硏究 |
37 |
2012 |
일본어와문학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 -柳夢寅과 許筠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about Buddhism in mid-Chosu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16세기 일기 자료 『瑣尾錄』연구 - 저자 吳希文의 피난기 생활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Oh Hui-mun's personal journal Swaemirok - with a focus on his life as a refugee -
조선시대사학보 |
60 |
2012 |
역사학
일본 대하드라마에서 보이는 히데요시像-「도시이에와 마츠」와「공명의 갈림길」을 중심으로-
The Image of Hideyoshi Shown in the Japanes Taiga Dramas-Focused on 「Tosiie and Matu」and「Love and Glory」-
한일관계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일본 대하드라마에서 보이는 히데요시像-「도시이에와 마츠」와「공명의 갈림길」을 중심으로-
The Image of Hideyoshi Shown in the Japanes Taiga Dramas-Focused on 「Tosiie and Matu」and「Love and Glory」-
한일관계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譯官 洪純彥과 朝明外交
译官洪純彥和朝明外交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1587년 損竹島 倭變과 壬辰倭亂
A Study on Japan's Invasion of Sonjukdo in 1587
동북아역사논총 |
29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佛敎政策과 性格硏究- 宣祖의 佛敎政策을 中心으로 ―
A Study on Buddhist Policy and its character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 Focussing on Buddhist Policy during the King of SunZo's reign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느 지방 이서의 임진왜란 증언과 전승 -경상도 인동의 향리 劉席珍과 그의 임진왜란 일기-
A Study of A Local Clerk's Testimony of Imjin War(1592-1599) -A Case Study of Indong District's Local Clerk and His War Memoirs-
영남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통영충렬사 ‘八賜品’에 대한 고찰(上)
중국어문학논집 |
71 |
2011 |
중국어와문학
『해수선생문집(海叟先生文集)』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llected Works of Haesu(海叟先生文集)』.
동남어문논집 |
1 |
32 |
2011 |
기타국어학
의병장 金蓋國의 삶과 사상
A study on Manchwi‐dang Kim Gae‐guk
동아인문학 |
21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의 '戰後처리'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壬辰倭亂の'戰後處理'と東アジア國際秩序の變動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朝鮮後期 佛敎政策과 性格硏究- 宣祖의 佛敎政策을 中心으로 ―
A Study on Buddhist Policy and its character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 Focussing on Buddhist Policy during the King of SunZo's reign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종교정책을 통해 본 선조 대의 종교지형 변화 ― 불교를 중심으로 ―
the research about changing of religious terrain in Sun-Jo's season - concentating on buddhism policies
종교연구 |
62 |
2011 |
종교학
譯官 洪純彥과 朝明外交
译官洪純彥和朝明外交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고고학적 조사를 통해 본 행주대첩에 대한 재검토
Re-study on Haengju Battle Considered through Archaeologic Investigation
서울과 역사 |
79 |
2011 |
역사학
靑梅 印悟禪師의 생애와 임진왜란 관련 시에 대하여
About Monk Cheongmaeino(靑梅印悟禪師)'s life & Poems in Japanese Invasion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임란기 西坰 柳根의 仕宦과 지방관활동
Yoo-Keun's public career and achievement as a local governor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조선중기 文人士大夫의 불교인식 -柳夢寅과 許筠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about Buddhism in mid-Chosu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이순신 지휘통솔의 배경과 실천적 특징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Lee's Command and Leadership
군사 |
80 |
2011 |
역사학
重峯 趙憲과 700 義士의 民族精神史的 意義
The meaning of the spirit of Jo Hoen and 700 righteous men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惟政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Rev. Youjeong's Rescue-the-nation Activities and its Evalu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惟政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Rev. Youjeong's Rescue-the-nation Activities and its Evaluation in the Buddhist Society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망암선생의 충의(忠義) 정신
Mangam's Spirit of Loyalty and Righteousness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이여송과 모문룡
Lee Ru-sung and Mao Wen-lung
역사비평 |
90 |
2010 |
역사학
이여송과 모문룡
Lee Ru-sung and Mao Wen-lung
역사비평 |
|
90 |
2010 |
역사학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cannot be the one for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called 'Imjin Waeran' -On the Status of Yeo-jin in Northeastern Area-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四溟大師전승에 나타난 인물기능과 현재성
Function and Nowness of Character in Samyeongdang's Triumph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四溟大師전승에 나타난 인물기능과 현재성
Function and Nowness of Character in Samyeongdang's Triumph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靑梅 印悟禪師의 생애와 임진왜란 관련 시에 대하여
About Monk Cheongmaeino(靑梅印悟禪師)'s life & Poems in Japanese Invasion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四溟堂 惟政의 정토사상
Pure Land Ideology of Samyeongdang, Yujeong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Tales about Samyeongdang-Consideration through the Narrative Customs of Historic Figures Tales-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명당 설화에 담긴 역사인식 연구-역사인물 설화의 서사적 문법을 통한 고찰-
A Study o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Tales about Samyeongdang-Consideration through the Narrative Customs of Historic Figures Tales-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The introduction of Musket and Joseon’s Military change from 16 to 17 Century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 사가의 조선포로 홍호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ong ho yeon in Saga Japan
일어일문학연구 |
73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 사가의 조선포로 홍호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ong ho yeon in Saga Japan
일어일문학연구 |
73 |
2 |
2010 |
일본어와문학
『看羊錄』의 여정에 따른 서술 방법
Description Method of Ganyangnok Travelogue; description according to itineraries
『도서문화』 |
38 |
2011 |
기타인문학
鄭琢의 『龍蛇日記』와 倭亂 극복 활동
Jeong Tak’s “Imjin Journal” and His Wartime Activities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대일록』을 통해본 함양 사족층의 동향
The local literatus class in Hamyang region with reference to Kodae Diaries
南冥學硏究 |
33 |
2012 |
철학
임진전쟁 전반기,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동향 - 戰功의 위기와 講和交涉으로의 가능성
A Study on the Movements of Kato Kiyomasa in the Early Days of Imjin War ― A crisis in military merits and the possibility of peace negotiations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 시기 수군깃발의 형태와 용도
The Forms and Use of Joseon Navy's Flags during Japanese Invasion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梧陰 尹斗壽의 정치활동과 임진왜란
The Political Activities of Oeum Doosoo Yoon an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통신사 사행원들의 일본에 대한 인식 -『海行摠載』에 실린 사행록들의 부정적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通信使行員の対日本認識
日本思想 |
22 |
2012 |
철학
海狂 宋齊民의 학문성향과 의병활동
The Study and War Experience of Song Je-min
역사학연구 |
44 |
2011 |
역사학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東アジア国際戦争としての「壬辰戦争」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김덕령의 역설적 삶과 의의
A Study on Irony and significance of Kim Dukryung’s Lifestory
남도민속연구 |
22 |
2011 |
역사학
火車의 製造와 壬亂 情勢의 變化
The Production of Armored Artillery Vehicle(火車) and the Change of Situation during the Imjinwaeran(壬辰倭亂)
孔子學 |
21 |
2011 |
기타유교학
知足堂 朴明榑의 삶과 시세계
Life and Poetic World of Jijokdang Park Myeong-Bu
동방한문학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知足堂 朴明榑의 삶과 시세계
Life and Poetic World of Jijokdang Park Myeong-Bu
동방한문학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戰爭實記의 새로운 분류방법 모색 試論 -壬亂 戰爭實記를 中心으로-
An Essay on Seeking for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Jeonjaengsilgi -the basis of Imjinwaeran Jeonjaengsilgi-
영남학 |
46 |
2010 |
유교학
戰爭實記의 새로운 분류방법 모색 試論 -壬亂 戰爭實記를 中心으로-
An Essay on Seeking for New Classification Method of Jeonjaengsilgi -the basis of Imjinwaeran Jeonjaengsilgi-
영남학 |
|
46 |
2010 |
유교학
조선 선조대 柳根의 대외관계 활동
Yu Geun's International Negotiation Activities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최석정의 《황극경세ㆍ성음창화도》에 대한 인식
Linguistic thought of Choi, Sok-Jong
한중언어문화연구 |
28 |
2012 |
중국어와문학
임진왜란 義兵에 대한 이해의 과정과 새로운 이해의 방향
壬辰倭亂 義兵に対する理解の過程と新しい義兵の理解の方向
한일군사문화연구 |
13 |
2012 |
기타군사학
제주에 표착한 일본인 세류두우수는 누구인가― 윤행임『석재고』를 통해 보는, 조선시대의 일본 임진왜란 담론 수용양상 ―
Who is Seryuduusu who was Tossed Ashore on the Island of Jeju?: The Literature on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Read in the Late Chosun Dynasty
일본학보 |
86 |
2011 |
일본어와문학
16~17세기 鳥銃의 도입과 조선의 軍事的 변화
The introduction of Musket and Joseon’s Military change from 16 to 17 Century
한국문화 |
58 |
2012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서의 임진전쟁
東アジア国際戦争としての「壬辰戦争」
한일관계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77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忠烈公 宋象賢 敍事’의 사회문화적 성격
The Social and Cultural Nature of the Narrative of Song Sang Hyun(宋象賢) in the late Joseon Dynasty
역사와 세계 |
40 |
2011 |
기타역사일반
임진왜란 시기 來庵 鄭仁弘의 의병운동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of Jeong, In-Hong(鄭仁弘)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중국학계의 임진왜란사 연구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Researching in History of Imjin Wearan by Chinese Academia
韓國史學報 |
45 |
2011 |
역사학
16세기 被虜沙器匠의 출신지 연구
A Study on the Chosun Potters Who were taken away to Japan in 16 Century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기 피로인들과 그들의 기록 - 강항·정희득·노인을 중심으로 -
The Chosun Captives and Their Records in the Imjin War - Focused on Kang-Hang, Chung-Heedeuk, Nho-In -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 초기 호남군병의 난과 운암전투의 실상
Rebellion of Honam Army and the Truth of Unam Combat in Early Imjinwaeran
역사와 담론 |
5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초기 호남군병의 난과 운암전투의 실상
Rebellion of Honam Army and the Truth of Unam Combat in Early Imjinwaeran
역사와 담론 |
|
56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에 대한 초등 교과용도서 분석 및 역사수업의 방향에 대한 소고
Analysis of Curriculum use’s Books and Study of history class’s direction about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의병의 개념과 임진의병
The Concept of Ŭibyŏng and the Imjin Ŭibyŏng in Chosŏn Korea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과 절의정신의 表儀에 대한 小考 ― 의성김씨 퇴암(문학)공파의 순절과 창의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nsmission of fidelity to one´s principl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온지논총 |
30 |
2012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 시기 來庵 鄭仁弘의 의병운동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of Jeong, In-Hong(鄭仁弘)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壬辰倭亂)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조선사기장 李參平의 피납과정과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dnapping Process and Performance of Sampeong Yi(A Joseon potter)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사기장 李參平의 피납과정과 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dnapping Process and Performance of Sampeong Yi(A Joseon potter)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Joseon’s Perception of National Defense Right Before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mjin Waeran) and Review of Its Response - Mainly on Response to Yeojin’s Intrusion of Northeastern Area -
역사와 담론 |
57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국방 인식과 대응에 대한 재검토 - 동북방 여진에 대한 대응을 중심으로 -
Joseon’s Perception of National Defense Right Before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mjin Waeran) and Review of Its Response - Mainly on Response to Yeojin’s Intrusion of Northeastern Area -
역사와 담론 |
|
57 |
2010 |
역사학
사료(史料)를 통해 본 조선피로인(朝鮮被虜人)의 일본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정착과정 연구(1)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on the Captured Koreans of Naeshirogawa in Satsuma Reg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1 |
2011 |
정치외교학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77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A Study on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Joseon Army in the Battles of Gyeongsangdo Area during Early Imjin War
군사 |
|
77 |
2010 |
역사학
정기룡(鄭起龍) 장군 재조명과 선양방안 연구
Revisit and Recognition of General Jeong Gir-yong
한국보훈논총 |
10 |
4 |
2011 |
기타사회학
임진왜란 초기의 전개상황과 그 배경
The Initial Development and Backgrounds of Hideyoshi’s Invasion of Korea(Imjin Waeran)
전북사학 |
39 |
2011 |
역사학
임난시기 조선의 安民과 自强의 정책순위와 經濟사상
The reform plans of public livelihoods and defense buildup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임진왜란 의병장 조헌(1544-1592)의 행적을 그린 항의신편 판화 고찰
A Study of the life of Jo Heon, the Woodblock Prints of Hang-eui-shin-pyeon
강좌미술사 |
35 |
2010 |
미술
임진왜란 의병장 조헌(1544-1592)의 행적을 그린 항의신편 판화 고찰
A Study of the life of Jo Heon, the Woodblock Prints of Hang-eui-shin-pyeon
강좌미술사 |
|
35 |
2010 |
미술
임진왜란 조선인 포로에 대한 기억과 전승-‘節義’에 대한 顯彰과 排除를 중심으로-
The Memory of Joseon Captives during the Hideyoshi Invasions and the Legacy Thereof (1592~1598)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xaltation and removal of honor (節義, jeolwui)-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에혼조센군키(繪本朝鮮軍記)』의 연구
日本語文學 |
1 |
52 |
2012 |
일본어와문학
임진왜란 의승군 활동과 그 불교사적 의미
The Actions of the Righteous Buddhist Army (Eui'seung-gun/義僧軍) during the War with the Japanese that broke out in 1592, and the Meaning of their actions in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보조사상 |
37 |
2012 |
종교학
임진왜란 포로의 일본 체험 실기 고찰
A Study on Records of Imjinwaeran POWs' Experience in Japan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진왜란 포로의 일본 체험 실기 고찰
A Study on Records of Imjinwaeran POWs' Experience in Japan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壬辰倭乱期における日本軍の咸鏡道占領と地域民の動向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임진왜란기 일본군의 함경도 점령과 지역민의 동향
壬辰倭乱期における日本軍の咸鏡道占領と地域民の動向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The Memory of Tangeumdae Battle and two Dalcheonmongyurok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탄금대 전투에 대한 기억과 두 편의 <달천몽유록>
The Memory of Tangeumdae Battle and two Dalcheonmongyurok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통영충렬사 ‘八賜品’에 대한 고찰(下)
중국어문학논집 |
73 |
2012 |
중국어와문학
임난시기 조선의 安民과 自强의 정책순위와 經濟사상
The reform plans of public livelihoods and defense buildup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松菴 金沔과 고령 지역의 의병활동
The patriotic soldier troop activity of Song Am Kim Myeon and in Goryeong Region
한국사상과 문화 |
64 |
2012 |
한국어와문학
엔도 슈사쿠의 「유리아라고 부르는 여자」론 - 「유리아」에 투영된 오타 줄리아의 이미지-
遠藤周作の『ユリアとよぶ女』論 -「ユリア」に投影されたおたあ‧ジュリアのイメージ-
日本學硏究 |
35 |
2012 |
일본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