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53

한자 : 昌慶宮
영어 : Changgyeonggung Palace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궁전 (宮殿)

제작자

성종 (成宗)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소장처(자)

국유

관리자(처)

창경궁 (昌慶宮)

지정호수_t

사적 123호

지정일자_t

1963. 1. 18.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궁궐 () [ 宮闕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옥천교 [ 玉川橋 ]

hasComponent (구성요소)

 

 

홍화문

hasComponent (구성요소)

 

 

명정전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궁궐지 [ 宮闕志 ]

RT (관련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춘당대 [ 春塘臺 ]

CLT:참조용어

nName_ST (옛이름)

 

 

창경원 () [ 昌慶苑 ]

조선후기 동궐 궐내각사 배치 체제의 변동 -『 어제궁궐지』및『궁궐지』의분석을중심으로-

The change of placement system of Government Offices within East Pala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 analysis of『 King made Gunggueolji』and『 Gunggueolji』-

서울학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동궐 궐내각사의 구성과 직장(職掌)

The Constitution of Gueolnaegaksa of the East Palace in late Joseon Dynasty and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서울학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