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종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595

한자 : 成宗
기타 : 조선 성종
기타 : King Seongjong
기타 : Seongjong
재위기간 : 1469-1494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별칭

 

자산군 [ 者山君 ]

UF (비우선어)

휘諱

 

혈 () [ 娎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09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성종실록 () [ 成宗實錄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림 () [ 士林 ]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좌리공신 [ 佐理功臣 ]

RT (관련어)

모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소혜왕후 [ 昭惠王后 ]

RT (관련어)

묘(墓)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릉 [ 宣陵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공혜왕후 [ 恭惠王后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현왕후 [ 貞顯王后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덕종 [ 德宗 ]

RT (관련어)

형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월산대군 () [ 月山大君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사가독서 [ 賜暇讀書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연산군 () [ 燕山君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예종 () [ 睿宗 ]

여말선초 宮衛 인식과 守門將 제도의 성립

Palace Security Recognition and Establishment of Chief Gate Keeper System at the end of Ko-ryu and the beginning of Chosun.

군사연구 | 131 | 2011 | 역사학

千秋太后의 실체와 西京 勢力

Chonchu(千秋) Empress Dowager and Local Gentry of West Capital(西京) Province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千秋太后의 실체와 西京 勢力

Chonchu(千秋) Empress Dowager and Local Gentry of West Capital(西京) Province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Feng-shui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ungjong Taebong -Comparative Analysis of Initial & Moved Taebong-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萬憤歌>에 드러난 怨恨의 양상

A study on the content of “Manbunga”

한국시가문화연구 | 30 | 2012 | 한국어와문학

도제의 기원에 관한 연구 - 고려 성종의 12목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3 | 1 | 2011 | 정치외교학

조선 성종의 향약활용과 의료정책

Promoting Native Korean medicinal herbs and Medicine Policy of King Seongjong in Joseon Dynasty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성종의 중재적 리더십과 태평의 정치 ―소인논쟁을 중심으로

Seongjong's mediatory leadership and political stability: Focusing on the debates on the petty man(小人)

대동문화연구 | 74 | 2011 | 기타인문학

철인왕 성종의 설득적 리더십 : 진퇴(進退)논쟁을 중심으로

Philosopher King Seongjong’s Persuasive Leadership: Focusing on the Debates about Advance and Retreat

한국학 | 34 | 2 | 2011 | 기타인문학

성종조 궁정 나례 중 관나(觀儺)의 현대적 재현을 위한 3D 제작과 의의

The study on the process about the 3D reappearance of Gwanna in king Sungjong period and its meaning

음악과 문화 | 26 | 2012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