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덕궁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60

한자 : 昌德宮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궁전 (宮殿)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종로구 (鍾路區)

소장처(자)

대한민국 (大韓民國)

지정호수_t

사적 122호

지정일자_t

1963.01.18

주소_t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궁궐 () [ 宮闕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 [ --世界遺産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돈화문 [ 敦化門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농산정 (창덕궁) [ 籠山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취한정 [ 翠寒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소요정 [ 逍遙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청의정 [ 淸漪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신선원전 [ 新璿源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낙선재 [ 樂善齋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부용정 [ 芙蓉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금천교 (창덕궁) [ 錦川橋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연경당 [ 演慶堂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원전 [ 璿源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대조전 [ 大造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희정당 [ 熙政堂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옥류천 [ 玉流川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선정전 [ 宣政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부용지 [ 芙蓉池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정문 [ 仁政門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애련지 [ 愛蓮池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정전 [ 仁政殿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애련정 [ 愛蓮亭 ]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극정 [ 太極亭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창덕궁 후원 [ 昌德宮後苑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궁궐지 [ 宮闕志 ]

세종대~단종대의 정치 변동과 풍수지리-풍수가 목효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Political fluctuation and influence of feng shui theory from the stage of Se-jong(世宗) to that of Dan-jong(端宗)-Through feng shui expert Mok-hyo-Ji(睦孝智)’s case-

역사민속학 | 36 | 2011 | 역사학

宣祖후반~광해군 초반 궁궐 경영과 ‘慶運宮’의 수립

Palace managemen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Seonjo(宣祖)’s reign through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un palace(慶運宮)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인조 경운궁 즉위의 정치적 의미

The accession of King Injo to throne in Gyeongun Place(慶運宮) and its Political meaning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