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금신보

연구분야 :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177

한자 : 梁琴新譜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문화재자료 (文化財資料)

유형/장르

악보 (樂譜)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진주시 (晋州市)

소장처(자)

국립진주박물관

지정호수_t

경남문화재자료 제308호

지정일자_t

2002. 02. 14.

주소_t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171-1번지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간보 [ 井間譜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거문고 () [ 玄琴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현학금보 [ 玄鶴琴譜 ]

「감군은感君恩」을 통해 본 오음약보 음고音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Oeumyakbo Pitch Seen from Gamguneun

국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감군은感君恩」을 통해 본 오음약보 음고音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Oeumyakbo Pitch Seen from Gamguneun

국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파강(巴江) 김두남(金斗南)과 『양금신보』

Kim Tu-nam and Yanggǔm sinbo

한국음악사학보 | 47 | 2011 | 음악학

정간보(井間譜) 1행(行) 정간수(井間數)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Number of Jeonggan on One Line of Jeongganbo

국악원논문집 | 24 | 2011 | 한국음악이론/분석

『梁琴新譜』의 사료적 가치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 of yanggeumsinbo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梁琴新譜』의 사료적 가치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 of yanggeumsinbo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