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간보

연구분야 : G020301 예술체육 > 음악학 > 음악사학 > 한국음악사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960

한자 : 井間譜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2-01 문헌명 문헌명

유량악보 [ 有量樂譜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세종실록 악보 () [ 世宗實錄樂譜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대악후보 () [ 大樂後譜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양금신보 () [ 梁琴新譜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금합자보 () [ 琴合字譜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5음 약보 [ 五音略譜 ]

진작류 악곡의 리듬해석과 음악 -진작, 치화평, 봉황음, 횡살문, 자하동, 이상곡, 성황반, 내당, 잡처용에 한하여-

The Rhythm and Music of Jinjakryu songs -Jinjak, Chihwapyeong, Bonghwangeum, Jahadong, Hoengsalmun, Isanggok, Naedang, Japcheoyong-

한국음악연구 | 50 | 2011 | 음악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종묘제례악 탁정, 선위, 신정, 정세의 음악적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sical Changes of Takjeong, Seonwi, Sinjeong, Jeongse in Jongmyo Jeryeak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한국음악 연구방법에 관한 考察

A Study on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Korean Music

민족문화논총 | 48 | 2011 | 기타인문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단소 지도내용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Contents of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근현대 한국음악가의 음악사적 업적 조명

A Historical Approach to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Musicians

한국음악사학보 | 47 | 2011 | 음악학

박연에 대한 북한 학계의 연구성과와 평가

The Study of outcomes accomplished and estimation about Park Yeon in North Korean academia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박연에 대한 북한 학계의 연구성과와 평가

The Study of outcomes accomplished and estimation about Park Yeon in North Korean academia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정간보에 의거한 고금 탄주법 연구

Review of Guquin Touch Based upon Chongganpo

국악교육 | 33 | 33 | 2012 | 한국음악이론/분석

『시용향악보』 수록악곡의 음악양식 - 가사 및 장단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Musical Styles of the Songs in Siyong Hyangakpo

한국음악사학보 | 48 | 2012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