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고금주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342

한자 : 論語古今註

y02-01 문헌명

저작자

정약용 (丁若鏞)

시대1

조선 후기 (朝鮮後期)

장르/유형

경전주석서

저작년_t

1813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여유당전서 [ 與猶堂全書 ]

R1:개념적

RT (관련어)

 

 

윤동 [ 尹峒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강회 [ 李綱會 ]

『논어』<학이>에 나타난 ‘배움[學]’의 본질과 도덕교육 - 『논어집주』와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

The Essence of Learning in Chapter ‘Hagi’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Meaning in Moral Education ― focused on Nonǒjibju and Nonǒkogǔmju

도덕윤리과교육 | 33 | 2011 | 교육학

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The Appreciation by Joseon's Intellects of Japanese Kogaku introduced through the Dispatch of Tongshinsa in the 18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통신사행을 통한 조선 지식인의 일본 古學 인식

The Appreciation by Joseon's Intellects of Japanese Kogaku introduced through the Dispatch of Tongshinsa in the 18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