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인도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G030105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사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359

한자 : 美人圖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풍속화 () [ 風俗畵 ]

R1:개념적

RT (관련어)

소장품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간송미술관 () [ 澗松美術館 ]

조선 후기 및 근대 회화의 母子像 - 신한평의 <慈母育兒>와 채용신의 <雲娘子27歲像>을 중심으로

The Representation of Mother and Child in Late Joseon and Modern Paintings, Focusing on Sin Hanpyeong’s Affectionate Mother Caring for a Baby(Jamoyuga) and Chae Yongsin’s Portrait of Unnangja at the Age of 27

미술자료 | 81 | 2012 | 미술사

장편 극영화 <미인도>의 팩션 장르 구현 전략

The Portrait of a Beauty and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a Faction Genre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

장편 극영화 <미인도>의 팩션 장르 구현 전략

The Portrait of a Beauty and the Strategies for Realizing a Faction Genre

문학과 영상 | 11 | 3 | 2010 | 영상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