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봉가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385

한자 : --歌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긴난봉가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수심가토리 [ 愁心歌--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개성난봉가

hasInstance (사례)

 

 

별제난봉가

hasInstance (사례)

 

 

숙천난봉가

hasInstance (사례)

 

 

사리원난봉가

hasInstance (사례)

 

 

병신난봉가

hasInstance (사례)

 

 

자진난봉가

hasInstance (사례)

 

 

사설난봉가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가요의 형성과 통속민요의 변주 -<난봉가>류의 텍스트 변이를 중심으로-

The Recreation of Tongsogminyo during The period of Modern Pop-songs -Recreation of Nanbongga's Lyrics-

한국시가문화연구 | | 25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