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연행록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034

한자 : 乙丙燕行錄

y02-01 문헌명

저작자

홍대용 (洪大容)

시대1

조선 후기 (朝鮮後期)

장르/유형

사행록 (使行錄)

저작년_t

1765-1766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록 [ 燕行錄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1 문헌명 문헌명

담헌연록 [ 湛軒燕錄 ]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21 | 2010 | 기타인문학

홍대용의 중국 체험과 청조문인과의 교유 -「을병연행록」을 중심으로-

Hong Dae-yong's Experience and Friendship with Literary Persons of Qīng(淸) ; focused on Eul-Byung-Yeonhaengrok(乙丙燕行錄)

동아시아고대학 | | 21 | 2010 | 기타인문학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During Damhu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Yeon-am(燕巖), the Friendship(交友)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을병연행록』에 나타난 ‘부끄러움’에 대하여 -북학(北學)의 감정적 기원에 관한 시론

A study on ‘shame’ appeared in Eulbyeongyeonhaengrok -An Essay on the emotional origin of Bukhak(北學)

코기토 | 72 | 2012 | 기타인문학